경남도가 국토교통부 ‘교통문화지수 평가’에서 최고 ‘A등급’을 받아 전국 2위를 달성하면서 교통문화가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도는 지역의 교통문화 수준을 보여주는 ‘2022교통문화지수 실태조사’에서 경남이 83.74점(전국 평균 81.18)을 받아 전국에서 최고 등급 점수를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8위였던 교통문화지수보다 6단계 상승한 것으로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하면 사실상 경남이 전국 1위다.
교통문화지수는 국토교통부가 해마다 전국 229개 기초지자체를 대상으로 도민의 교통안전 의식 수준을 지수화한 값으로 인구 규모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나눠 운전행태, 보행행태, 교통안전 등 3개 영역에서 18개 항목을 평가한다.
이는 지역 교통문화 의식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지역의 교통문화지수가 높다는 것은 해당 지역의 교통안전 의식 수준이 높고 그만큼 안전하다는 의미다.
도는 그동안 교통문화지수 취약항목 원인분석 및 개선 주력과 교통안전 취약계층 및 운전자별 맞춤형 교통안전 캠페인, 시·군별 교통안전 업무 역량강화, 도-시·군 교통문화지수 향상 추진, 시·군별 교통안전 대책 등 대대적인 신교통 문화운동을 전개 했다.
특히 지난해 8월에는 조직개편을 통해 교통안전담당 전담부서를 신설해 교통안전 전담인력을 확충하는 등 경남 맞춤형 교통안전 사업을 확대 했다.
또 지난해 3월에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통안전 정책추진을 위해 한국교통안전공단 경남지부와 협약을 체결해 교통문화지수 향상에 전략적으로 대응해 왔다.
지표 결과 밀양시가 87.15점으로 인구 30만명 미만인 49개 시 중 전국 1위로 선정됐으며 전국 229개 지자체 중 지난해 교통문화지수 개선율이 가장 높은 지자체로는 사천시가 선정 됐다.
김영삼 도 교통건설국장은 “이번 평가는 시민들의 성숙한 교통문화 의식과 경남도의 교통안전 노력의 결과이다”며 “앞으로도 경남형 신교통 문화 정책추진을 통해 교통사고 없는 안전한 경남이 될 수 있도록 앞장 서겠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