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는 올해 미세먼지·온실가스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기 위한 대기환경 개선사업을 벌인다. 연말까지 708억 원을 투입해 ‘맑고 깨끗한 공기, 숨 편한 도시 환경’을 조성한다.
광주시는 “2023년부터 전주 거치형 전기차 충전기 설치, 냉난방 가스 열펌프 저감장치 지원 등 2개 사업을 더해 17개 대기환경 개선사업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지난해 672억 원을 들여 전기자동차 보급 등 15개 사업을 진행한 시는 올해부터 한국전력과 협력해 단독주택 단지, 골목길 등에서도 손쉽게 전기차를 충전하도록 시민 편의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동네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전신주에 우선 30여 개의 완속 충전 시설을 거치하는 전기차 충전기 설치사업에 착수한다.
충전인프라를 확대 구축하는 차원에서 시청과 구청 등 공공청사 등에 설치한 공공충전기는 기존 65기에서 175기로 2배 이상 늘린다.
대량의 대기오염원을 배출하는 대형건물과 중소사업장 등의 냉난방 가스 열펌프는 대당 175만 원을 들여 미세먼지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저감장치를 추가한다.
주택용 노후 보일러를 친환경 저녹스 보일러로 바꾸면 저소득층에 가구당 60만 원씩을 지원하는 등 총 1만2800대의 낡은 보일러도 연말 안에 교체한다.
매연이 심한 노후 경유차의 조기 폐차를 위한 지원금 대상은 종전 배출가스 5등급에서 4등급 차량으로 기준을 상향 조정한다. 오는 3월부터 7200여 대에 166억 원을 투입한다. 시는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경유차 조기 폐차를 위해 2만3000여 대에 404억 원을 지원했다.
시는 이를 통해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이 2019년 5만6000여 대에서 2022년 말 2만3000여 대로 60% 가까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전기차 확대보급에도 나선다.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발생의 주범인 도로이동 과정의 오염원 발생을 막기 위해 전기차 4800대를 신규 보급하는 데 485억 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2021년 2205대보다 배 이상 늘린 것이다.
시는 광주지역 전체 미세먼지 발생량 중 23%가 도로 위를 달리는 차량에서 유발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시는 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 566대, 건설기계 엔진 교체 130대, 어린이 통학 차량 LPG 전환 146대 등에 54억 원을 별도 지원한다.
이정신 시 대기보전과장은 “코로나19로 잠시 멈추거나 작업량을 줄였던 산업현장과 일상이 정상화되면서 미세먼지 등도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며 “대기오염 배출원을 원천적으로 줄이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