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가 지난해 연간 최대 실적 기록을 다시 썼다. 글로벌 경기 침체와 차량용 반도체 수급 불안 등 속에서도 해외 판매에서 호조를 보이며 실적 개선을 이뤄냈다. 환율 여건이 우호적인 상황이 이어졌고,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등 고수익 차종 판매 비중이 늘어난 덕이다. 2020년 2조원대였던 영업이익을 2021년 5조원으로 끌어올린 데 이어 지난해 처음으로 7조원대를 돌파했다.
기아는 27일 지난해 매출액 86조5590억원, 영업이익 7조2331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23.9%, 영업이익은 42.8% 각각 증가했다.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모두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해외 판매가 전체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지난해 기아는 국내와 세계 시장에서 전년보다 4.5% 늘어난 290만1849대를 판매했다. 이 가운데 해외 판매는 전년 대비 5.4% 늘어난 236만2551대를 기록했다.
차종별로 보면 준중형 SUV인 스포티지가 39만 6674대 팔리며 해외 최다 판매 모델로 이름을 올렸다. SUV는 고부가가치 차종으로 불린다.
환율 효과도 톡톡히 봤다. 지난해 4분기 원·달러 평균 환율은 전년 대비 14.9% 높은 1359원이었다.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은 환율이 높아지면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시에 늘어나는 등 수익성이 높아진다. 기아는 “우호적인 환율 영향으로 수익성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반도체 수급난에 따른 출고 지연이 이어진 상황이었지만, 국내 판매도 선방했다고 평가한다. 기아는 지난해 국내에서 전년 대비 1.1% 증가한 54만1068대를 판매했다.
기아는 올해도 실적 개선세를 이어나가겠다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올해 매출 목표를 지난해보다 12.7% 높은 97조6000억원으로 높여 잡았다. 영업이익은 올해보다 28.6% 늘어난 9조3000억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반도체 수급난이 완화하는 데 맞춰 생산량을 확대하고 대형 전기 SUV EV9 등 신차를 앞세워 수익성 개선에 힘을 준다는 계획이다.
기아는 “탄탄한 수요를 기반으로 한 판매 물량 증가, 고수익 SUV 중심의 지속적인 판매 믹스 개선, 대형 전기 SUV 신차 EV9 출시 등으로 선순환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