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26일 난방비 폭등의 책임과 관련해 “문재인 정권의 에너지 포퓰리즘 폭탄을 지금 정부와 서민들이 뒤집어쓴 셈”이라고 말했다.
주 원내대표는 이날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2021년 1분기에 비해 최대 10배 이상 LNG(액화천연가스) 가격이 상승했고 2021년 1월부터 작년 10월 사이 주택용 가스요금이 미국은 218%, 영국은 318%, 독일은 292% 상승했지만 우리나라는 38.5% 인상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문재인정부는 대선 전까지 1년 반 동안 가스요금을 동결했다가 그것도 선거 끝나고 겨우 12% 인상했다”고 덧붙였다.
문재인정부가 가스요금을 제때, 적정 수준으로 올리지 않은 탓에 지금 서민들이 ‘난방비 폭탄’을 맞게 됐다는 것이다.
주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난방비 폭등을 두고 지금 정부를 비난하는 것은 눈 가리고 아웅하기고 무책임과 뻔뻔함의 극치”라고 비난하며 “민주당이 폭탄 돌리기로 이렇게 던져놓고 지금 정부에 책임이 있다고 하는 걸 국민들이 모를 정도로 어리석지 않다”고 꼬집었다.
성일종 정책위의장도 “문재인정부 5년 동안 석유‧가스 등 에너지 폭등에 대비한 어떤 정책도 없었다”며 “탈원전 한다며 가격 인상조차 소홀히 해 한국가스공사의 영업손실 5조원, 한전 30조원의 적자를 후임 정부에 떠넘겼다”고 비판했다.
주 원내대표는 비대위 회의에 앞서 CBS라디오 인터뷰에선 “(난방비가) 3~4배 더 많이 나온 집도 있어 대책을 고심 중”이라며 “곧 당정협의회를 열고 이 문제에 대한 해법을 찾으려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날 취약계층 117만6000가구에 대해 올겨울 한시적으로 에너지바우처 지원 금액을 15만2000원에서 30만4000원으로 2배 인상한다고 밝혔다. 가스공사도 사회적 배려 대상자 160만 가구에 대해 가스요금 할인 폭을 올겨울에 한해 현재 9000원~3만6000원에서 2배 인상된 1만8000원~7만2000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박성영 기자 ps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