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한 농협에서 간부의 직장 내 괴롭힘으로 30대 직원이 극단적 선택을 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019년 장수농협에 입사했다 지난 12일 숨진 A씨(33)의 가족은 25일 전북경찰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직장내 괴롭힘의 실태를 밝혀 처벌이 이뤄질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A씨의 가족들은 지난해 1월 B씨가 센터장으로 부임한 이후 A씨가 지속적으로 모욕적인 말을 들었다고 밝혔다. 이들은 B씨가 당시 잡곡업무를 담당하던 A씨와 상의 없이 잡곡센터를 장날에만 열도록 처리했고 이 과정에서 마찰이 생긴 것으로 추정했다.
이후 B씨는 직원들이 모두 보는 앞에서 A씨에게 “왜 일을 그렇게밖에 못하냐” “머릿속에 뭐가 들어있는지 모르겠다”는 등의 말들을 했다고 한다.
또 A씨가 직원 주차장에 주차하자 “네가 뭔데 (이런 편한 곳에) 주차를 하냐”고 핀잔을 주거나 “너희 집이 잘사니까 랍스터를 사라”는 등의 눈치를 주기도 했다고 전했다.
A씨는 괴롭힘을 견디다 못해 지난해 9월 결혼을 3주가량 앞두고 극단적 선택을 했다. 당시 A씨는 다행히 늦지 않게 발견돼 목숨을 건졌고, 이후 농협은 직장 내 괴롭힘과 관련된 조사를 시작했다.
농협은 지난해 12월5일 정식조사결과 심의위원회를 통해 B씨의 혐의가 없다고 결론 지었다. 공인노무사가 작성한 조사결과보고서에 기초한 심의위원의 조사 결과에 따른 판단이라는 설명이다.
A씨의 가족은 농협의 조사 결과를 믿지 못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농협이 가해자와 피해자의 업무를 분리하지 않은 채 조사를 진행했다고 지적했다. 또 농협 측이 조사를 위해 연결해준 노무사 역시 가해자의 지인이었다고 주장했다.
당시 A씨는 B씨의 괴롭힘으로 우울증이 생겼고, 증세가 악화돼 병원에 입원까지 했다. 그러나 B씨는 A씨의 인사를 받아주지 않는 등 모욕적인 행동을 이어나갔다고 A씨의 가족들이 전했다.
결국 A씨는 지난 12일 자신이 일하던 농협 근처에 차를 세워둔 채 극단적 선택을 해 숨졌다.
당시 A씨는 유서에 “열심히 해보려 했는데 사무실에서는 휴직이나 하라고 해서 (괴로웠다)”며 “이번 선택으로 가족이 힘들겠지만 이 상태로 계속 간다면 힘들 날이 더 길어질 거라는 생각이 든다”는 등의 내용을 남겼다.
A씨의 동생은 이날 기자들에게 “형은 전북도지사상을 받기도 할 만큼 열성적으로 일을 하던 직장인”이라며 “하지만 얼마나 괴로웠으면 이런 선택을 했는지 가족들은 한이 서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형은 괴롭힘을 당할 때마다 세세하게 컴퓨터에 정황을 기록해뒀는데 이 사실을 알게 된 농협 측이 컴퓨터를 무단으로 폐기하기도 했다”며 “이 사건을 제대로 규명하고 형을 괴롭힌 간부와 이 사건을 방관한 책임자들이 합당한 처벌을 받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A씨 가족들은 이날 고용노동부에 직장 내 괴롭힘 진정을 넣고 경찰에 고소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장수농협 측은 “매뉴얼에 따라 적법한 절차로 조사를 진행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장수농협 관계자는 이날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가해자와 피해자의 업무가 분리되지 않았다’는 유족 측 주장과 관련해 “인지 직후 신고자와 피신고자의 근무지를 일차적으로 분리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연초에 있는 전년도 결산 감사 때 신고자의 서류 정리가 미흡한 부분이 있어 현장에 돌아가 감사 준비를 마치고 오라는 지시가 있었다”며 “감사 시 문제 소지를 줄일 기회를 준 것이고 근무지 분리는 이미 이뤄진 상태였다”고 설명했다.
또 ‘정황이 담긴 컴퓨터를 폐기했다’는 주장에 대해 “사고 발생 5개월 전인 지난해 4월 이사회 의결로 10년 넘은 PC 교체를 결정했다”며 “지난해 5월 PC를 교체했고 6월에 폐기한 것”이라고 밝혔다.
‘노무사와 지인이 아는 사이였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노무사와 피신고인이 지속적인 교류가 오가던 사이는 아니라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앞으로 유족 측에서 요구하는 사안이 있다면 최대한 협조할 것”이라며 “마찬가지로 고용노동부나 경찰 조사에도 성실히 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 희망의 전화 ☎129 / 생명의 전화 ☎1588-9191 /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김승연 기자 ki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