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에서 열린 ‘양자 분야 석학과의 대화’ 행사에 참석해 “퀀텀 사이언스(양자 과학)가 대단히 어렵고, 또 장기간의 연구와 투자가 필요한 분야이지만 대한민국 정부는 미래 국가 전략 기술의 하나로 선정해서 국가 차원에서 역량을 결집하고 있다”고 밝혔다.
취리히 연방 공대는 상대성 이론으로 유명한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모교로 아인슈타인을 포함해 22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대학이다. 양자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행사에는 귄터 디세르토리 취리히 연방 공대 부총장 등 대학 관계자와 안드레아스 발라프·클라우스 엔슬린·조나단 홈 등 취리히 연방 공대 양자 분야 교수들이 참석했다. 한국 출신으로 세계적 양자 석학으로 알려진 김명식 임페리얼 칼리지 교수도 행사에 함께 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노벨 물리학상은 양자 기술이 나아갈 길을 닦은 세 분의 학자들이 수상했다”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적 기반 기술이 된 퀀텀 사이언스와 관련해서도 국내적으로도 다양한 연구 성과가 나오고 있고, 각국의 큰 관심이 양자 기술에 모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취리히 연방 공대는 지금 전 세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퀀텀 사이언스의 대표적인 대학으로 알려져 있다”며 “양자 기술은 우리가 사는 이런 거시 세계 기준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미시 세계 양자 단위의 아주 미세한 물질들을 연구하는 분야인데, 이러한 어려운 분야에서 연구를 꾸준히 진행해 오시고, 또 그 성과를 인류 발전을 위해서 활용하는 데 앞장서고 계신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양자 석학과의 대화에서 논의된 내용들이 정부에서 수립 중인 ‘국가 양자 전략’에 반영, 발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석학과의 대화에 앞서 디세르토리 취리히 연방 공대 부총장의 안내를 받아 대학 도서관에서 아인슈타인의 생애 및 업적에 대해 소개 받고 소장품을 둘러봤다.
취리히 연방 공대 도서관은 780여만 건의 장서 및 유물을 보유한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학 도서관이다. 아인슈타인의 재학시절 학적 기록, 노트, 동료와 주고받은 서한 등을 보유하고 있다.
취리히=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