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이 지속되면서 경기도민 10명 중 9명 가까이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격한 물가상승으로 가계 가처분소득(소득 중 소비·저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부분)도 감소하고 있는 도민이 10명 중 4명이 훨씬 넘어섰으며, 이는 낮은 소득 구간으로 갈수록 심해졌다.
경기연구원은 지난해 11월 29일부터 12월 2일까지 나흘간 경기도민 965명을 대상으로 한 이러한 내용 중심의 ‘농식품 물가상승으로 인한 장바구니 경제의 딜레마’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9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88%가 ‘물가상승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답했다.
급격한 물가상승으로 응답자의 43.4%가 가계 가처분소득이 감소했다고 했다. 특히 연 소득 1000만~3000만원 미만(50.4%), 연 소득 1000만원 미만(49.2%) 등 낮은 소득 구간일수록 심했다.
절반 이상인 57.0%는 식료품비(외식포함) 소비지출액 증가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91.5%와 92.4%는 각각 농·축·수산물 및 가공식품의 소비자가격 상승을 체감했다고 했다.
응답자의 74.0%는 외식 물가상승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소비자들은 할인행사 상품(23.0%), 할인매장 이용(19.8%), 농식품 우선순위 구매(18.0%), 동일 품목군 내 저가 상품 구매(13.1%) 등의 방식으로 농식품 물가상승에 적응했다.
연구원은 농식품 수요자와 공급자에 대한 동시 지원 강화 전략으로 식품 소비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식료품 현물을 지원, 지역의 소상공인과 소비자 연계 소비 활성화 정책, 경기도 농식품 유통 소상공인 금융 및 경영 지원을 통해 물가상승 피해 최소화, 농식품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수출역량 강화 지원과 R&D 투자지원 확대를 통한 공정 과정 및 신제품 개발 혁신 유도 등을 제시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