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엔데믹 시대를 맞이한 교회들이 ‘연료비 인상’이라는 복병을 만나 휘청이고 있다. 교회에 따라 가스·전기요금이 최근들어 20~30% 가량 늘어난 사례가 적지 않고 심지어 전달 대비 300% 치솟은 교회까지 있다.
올해 1분기 시간당 ㎾(킬로와트) 소비에 13.1원씩 인상됐지만 또다시 인상될 가능성이 크다. 우크라이나전쟁 이후 꿈틀거리는 가스요금도 상반기 중 인상이 예고돼 있어 교회들의 부담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경기도 수원의 A교회는 지난해 연말 당회에서 연료비 인상을 고려해 연료비 지출 예산을 전년 대비 100% 인상했다. 이 교회 담임인 B목사는 18일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지난해 11월 400만원쯤이던 가스·전기요금이 12월에 1200만원이 나오면서 연료비 예산 증액이 무색해졌다”면서 “코로나가 잦아들면서 교회 행사가 정상화 됐고 성탄절 등 굵직한 행사가 많아 사용량이 많이 늘기도 했지만 연료비 자체가 올라가면서 상상을 초월한 요금이 나왔다”고 말했다. 연말이라는 특수성이 반영됐다 하더라도 이 교회는 한 달 만에 가스·전기요금이 300%나 늘어난 셈이다.
이 교회의 사례가 일반적이지는 않아도 적지 않은 교회들이 30% 가량 연료비 인상을 경험했다. 서울 동대문구의 C교회도 지난해 연말 당회에서 새해 연료비 예산을 30% 인상했지만 한달 만에 추경을 검토하고 있다. 담임 D목사는 “우크라이나전쟁 이후 계속 오르던 가스와 전기요금이 이렇게 한꺼번에 오를 거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작은교회들은 더욱 힘들다. 코로나 기간 중 경기도 용인에 개척한 E목사는 “몇 명 되지 않는 교인들이 코로나 중 정성껏 헌금을 하셨고 모이질 못해 지출도 없어 적은 기금이 모였는데 이를 연료비로 다 쓰게 생겼다”면서 “대형교회들이 이번 겨울 동안만이라도 작은교회 연료비 지원 등을 검토해 달라”고 호소했다.
기독교 환경 단체들은 ‘환경친화적 교회’로 전환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진형 기독교환경운동연대 사무총장은 “에너지 요금이 오르는 건 결국 환경 파괴를 막고 기후 위기를 저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비용으로 아끼는 것 말고는 별다른 대안이 없는 상황”이라면서 “교회가 적극적이고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해 기후환경을 보존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요청했다.
우크라이나전쟁의 직격탄을 맞은 유럽교회들의 대응은 발 빠르다.
스위스개혁교회를 비롯한 스위스의 개신교회와 가톨릭교회들은 교회 온도를 낮추기 위한 공동 지침을 만들고 실천에 나섰다. 김명환 스위스 선교사는 “지난해 11월부터 스위스의 교회들은 예배를 드릴 때는 예배당 온도를 16~18도, 예배가 없을 때는 10~12도로 맞추고 있다”면서 “입김이 나올 정도로 춥지만 교인들이 솔선수범해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장창일 기자 jangc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