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 98.6%가 코로나19 항체를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지 않은 ‘미확진 감염자’도 18.5%로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13일 한국역학회 및 지역사회 관계기관과 함께 지난해 12월 7~22일 7528명(1차 조사 참여자 9945명 중 희망자)을 대상으로 진행한 코로나19 항체양성률 2차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체 항체 양성률은 98.6%로 1차 조사 결과인 97.6%보다 소폭 상승했다. 자연 감염과 백신 접종을 통한 항체를 모두 포함한 수치다.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투하면 이에 대항하기 위한 항체가 형성된다. 이 항체 유무를 파악하면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다.
자연 감염 향체양성률은 70.0%로 1차 조사(57.2%) 대비 12.8% 상승했다. 이 기간 확진자 누적발생률은 51.5%이다. 두 격차인 18.5%가 미확진 감염자로 그동안 거론됐던 ‘숨은 감염자’가 다수 존재한 것을 알 수 있다.
자연 감염 항체 양성률의 경우 백신 접종률이 낮은 소아, 청소년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고연령층으로 갈수록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별로는 세종특별자치시, 강원도, 부산광역시, 경상북도, 서울특별시, 제주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 등이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전체 항체양성률이 높다는 것이 각 개개인의 바이러스에 대한 방어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국내외 연구결과에서 감염 후 생성된 항체의 역가는 3개월 시점부터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권 원장은 “항체 역가의 수준이 낮을수록 감염 위험도는 증가한다”며 “60대 이상 고연령층을 포함한 고위험군은 백신 추가 접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확인했다”며 백신 추가 접종을 당부했다.
이지민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