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산하 공공기관 혁신 추진…현장중심 조직 전환

입력 2023-01-11 10:32 수정 2023-01-11 10:35
인천시청 전경. 국민DB

인천시가 산하 공공기관 174곳에 강도 높은 혁신을 주문했다.

시는 민선 8기 시정철학 실현 및 시민안전·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산하 공공기관 혁신 추진계획을 확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를 위해 혁신 전담팀을 구성·운영하고 공사·공단 5곳, 출자·출연기관 11곳, 특수목적법인(SPC) 10곳, 센터 148곳 등 산하 공공기관 174곳에 대한 실태조사·현장방문·기관면담 등을 추진했다.

시는 우선 산하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정원 증원 자제, 소규모 조직 부서 통·폐합, 지원부서 슬림화 등을 통해 현장중심 조직 전환을 추진한다. 인천교통공사의 경우는 인재개발원과 교통연수원을 통합한다. 인천환경공단은 정원 50인 이하 사업소를 2급 이하 체계로 개편한다.

기관별 직무분석을 통해서는 매년 1%의 재배치 가능 인력 등을 발굴한 뒤 신규 수요 및 현장서비스 분야 등에 배치한다. 이 같은 인력 재배치는 5년간 276명에 걸쳐 이뤄질 전망이다.

산하 공공기관이 보유한 유휴부지 등 비핵심자산 정비를 통해 2134억원의 유동자산을 확보하는 등 자산 건전화도 추진된다. 업무추진비 및 경상경비 또한 줄여 100억원의 예산을 절감할 방침이다.

시정철학 실현을 위해서는 기관별 경영평가 및 최고경영자(CEO) 평가 지표 추가 신설, 임원 성과 평가, 안전사고 임원 문책 제도 도입 등 제도 개선이 이뤄진다. 효율적 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산하 공공기관 총괄부서도 신설된다.

시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과도한 경조사비 지급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는 복리 후생 제도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미 산하 공공기관들은 사규 개정 및 노동조합과 협의 등을 거쳐 복리후생 제도 개선 이행계획을 시에 제출한 상태다.

기능이 유사하거나 중복된 센터들을 대상으로 한 효율화 방안도 마련됐다. 먼저 1단계 정비대상 43곳 중 14곳에 대한 통합 등이 이뤄질 예정이다. 통합 대상은 장애인편의증진기술지원센터와 장애인편의시설시민촉진단, 인천기후환경연구센터와 탄소중립지원센터, 소상공인서민금융복지지원센터와 디딤돌센터 등이다. 이후에도 시는 지속적으로 센터 효율화 방안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번에 확정된 공공기관 혁신 추진 계획은 300만 인천시민의 행복 및 안전, 시민 서비스의 질 강화를 위한 시와 산하 공공기관의 첫걸음이 될 것”이라며 “공직자를 비롯한 공공기관 임직원 모두 ‘인천의 꿈, 대한민국의 미래’를 향해 도약하는 세계 초일류도시 인천의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