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지역 청년들이 청년정책을 직접 제안하는 ‘청년제안’ 플랫폼을 운영한다고 10일 밝혔다.
대전청년포털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청년제안은 지난해 10월 구축된 이후 약 3개월간의 시범운영을 거쳐 올해 정식으로 운영을 개시했다.
청년제안은 청년제안 및 토론, 사전조사, 숙의토론, 결과공개(부서 답변) 단계로 진행된다.
청년들이 자신들이 겪는 문제와 해결방안을 제안하면, 30일간 20명 이상이 댓글로 참여한 제안을 대상으로 ‘대전청년네트워크’ 회원들이 사전 조사를 실시한다.
이어 전문가·담당공무원 등이 정책 필요성과 추진 방법 등에 대해 숙의 토론을 진행하고 관련 부서가 결과를 검토해 답변을 공개한다.
올해는 분기마다 숙의 토론이 진행되며 토론에 참석을 희망하는 청년은 누구나 참석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시범운영 기간에는 총 12건의 정책 제안이 접수됐다. 이중 가장 많은 공감을 받으며 숙의토론 안건으로 선정된 제안은 ‘청년 주거계약 원스톱 서비스 운영 사업’이었다.
이 사업은 계약 집 방문시 건축법·소방법 등 위반사항 확인, 계약서 확인 및 보증보험 가입 등 청년이 집을 구할 때 일련의 과정을 시가 지원하는 원스톱 서비스다.
제안자는 청년들이 청년 공급 주택에 대한 정보를 잘 알지 못하고, 건축법·소방법·부동산 관련 법률 등에 대한 전문성이 낮은 만큼 이를 보완하기 위한 원스톱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전청년정책네트워크 회원들은 이 제안과 관련해 타 지자체 사례 등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이어 지난달 6일에는 청년 전문가들이 숙의 토론을 갖고 정책의 필요성과 실현 가능성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사업을 긍정적으로 검토한 관련 부서는 향후 기본방침 마련 및 예산확보, 조례 개정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시는 청년제안에 댓글로 의견을 제시한 참여자 가운데 20명을 추첨해 경품을 제공하고 토론 참여를 독려한다는 계획이다.
민동희 대전시 복지국장은 “청년제안 플랫폼을 통해 청년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대전시도 정책 반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