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미국 지구관측 위성 ‘ERBS’가 한반도 상공을 지나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까지 피해 상황은 접수되지 않았다고 9일 밝혔다.
미 공군은 ERBS 정확한 추락 지점과 시각을 발표할 예정이다.
미국 측이 위성 추락 장면을 포착했거나 약 2시간 동안 위성이 관측되지 않을 시 추락 여부가 확정된다.
과기정통부는 “한국천문연구원이 최종 추락 지점과 시간 등 추가적인 정보를 확인하는 대로 다시 보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ERBS는 1984년 10월 5일 챌린저 우주왕복선에서 발사된 이후 지구 열복사 분포를 관측하고 분석하는 임무를 수행한 무게 2450㎏의 위성이다.
당초 ERBS 추락 예측 범위에 한반도가 포함됐었다.
한국천문연구원이 이날 오전 4시 기준 수행한 궤도 분석 결과에 따르면 ERBS는 낮 12시20분에서 오후 1시20분 사이 한반도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오전 7시쯤 경계경보를 발령했다.
과기정통부는 이어 오전 11시31분쯤 재난안전문자를 통해 “12:20∼13:20분 사이 한반도 인근에 미국 인공위성 일부 잔해물이 추락할 가능성이 있다. 해당 시간 외출 시 유의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다만 정부 대처가 미흡했다는 지적이 온라인상에서 제기됐다.
재난안전문자만으로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알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 누리꾼은 트위터에 재난안전문자 사진을 올린 뒤 “위성 잔해물을 어떻게 유의하라는 건가”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온라인상에서는 어느 정도의 피해가 예상되며, 어떤 대응이 필요한 지 알려주지 않아 오히려 불안감만 크게 조장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다른 누리꾼은 “위성 추락 잔해를 목격했을 경우에 대한 행동 요령 정도는 말해줘야 되지 않았나 싶다”며 과거 사례를 소환했다.
이 누리꾼은 2018년 중국 우주정거장 ‘톈궁 1호’ 추락 당시 정부가 배포한 안내자료를 첨부했다. 자료에는 실내와 실외에 있을 경우, 위성 추락 후 대처 방법이 비교적 구체적으로 적혀 있다.
또 다른 누리꾼은 “재난문자 달랑 보내는 걸로는 안심이 안 되지 않겠느냐”고 꼬집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