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풍암호 수질개선 둘러싼 찬반의견 거세다

입력 2023-01-09 15:17 수정 2023-01-09 15:23

광주 도심의 대표적 친수공간인 풍암호수 수질 개선 방안에 대한 갑론을박이 거세다. 광주시와 민간공원 특례사업자, 사회·환경단체 등의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9일 광주시에 따르면 민간공원 특례사업 대상인 ‘중앙공원 1지구’ 조성을 위해 풍암호수 수질 개선과 명품 공원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고질적 민원이 제기돼온 녹조와 악취를 동시에 없애고 민간아파트 입주민은 물론 공원을 찾는 많은 시민에게 쾌적한 휴식처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시는 민간아파트 신축과 함께 공원개발에 나선 특례사업자 ‘빛고을 중앙공원개발’이 농어촌공사 소유인 풍암저수지를 340억 원에 사들이고 향후 수질 개선 시설비로 278억 원을 추가 투입하도록 했다.

오는 2025년까지 준설작업과 더불어 아파트 신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흙모래로 일부 호수를 메우고 현재 2.8~4.9m의 수심을 평균 1.5m로 낮추는 게 수질 개선의 핵심이다.

수질이 악화한 영산강물과 생활오수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대신 풍암호 주변에 대형 지하수 관정을 파 매일 1000여㎥의 깨끗한 물을 흘려보내 수질을 유지하도록 하는 방안도 포함돼 있다. 호수 옆 장미단지는 이전하고 야외공연장과 목표는 철거할 예정이다.

시는 호수면적이 12만㎡에서 10만㎡, 저수량은 35만t에서 15만t 정도로 줄어들지만 수질 관리의 효율성은 크게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산책로와 수변 카페 등 편의시설을 골고루 갖춘 도심 호수공원을 명소화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이 같은 수질 개선 방안이 구체화하자 풍암동 주민자치위, 환경단체 등은 호수 매립과 지하수 유입은 합리적 수질 개선 방안이 될 수 없다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풍암 호수 매립반대’ 현수막을 곳곳에 내건 풍암동 주민자치위는 주민 5000여 명의 반대 서명을 토대로 “시민 의견수렴 과정을 전혀 거치지 않은 호수매립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주민자치위에 가세한 전주언 전 서구청장은 “서구민 건강명소 풍암호수가 수질 정화를 명분으로 아파트 사업자의 토사처리 수단으로 전락하고 호수 원형이 심하게 훼손되는 것을 지켜볼 수 없다”며 “광주시가 원형보존을 전제로 한 친환경적 수질 개선 방안을 서둘러 마련해달라“고 촉구했다.

풍암호수는 1956년 농업용 저수지로 축조됐다. 1980년대까지 농사짓는 데 주로 활용된 풍암호수는 1990년대 풍암택지개발 이후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주변에 들어서면서 나들이, 산책 코스로 꾸며져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해마다 여름철에 녹조 현상과 함께 악취에 따른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2019년 도시공원 일몰제에 따라 선정된 중앙공원 1지구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사업자가 공원 조성 사업비를 부담하는 대신 민간아파트 등 2800여 세대를 지어 분양하는 방식으로 추진 중이다.

시 관계자는 “경치가 빼어난 호수를 일부 메워서라도 적절한 수질 개선 방안을 마련하자는 취지”라며 “서구와 공동 구성한 TF 방안을 중심으로 시민여론을 더 수렴해 이른 시일 내 최종 개발방식을 확정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