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하려고 공장에 맡긴 전기차량에서 배터리 내부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는 열 폭주 현상으로 화재가 발생했다.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불을 끄는 데 3시간 가까이 걸렸다.
8일 소방 당국에 따르면 지난 7일 오후 5시쯤 서울 성동구 테슬라 서비스센터에 입고된 모델X 전기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다친 사람은 없었지만 펌프차 등 소방 장비 27대가 출동해 물줄기를 쏟아낸 뒤 겨우 불길이 잡혔다.
이 화재로 차량의 절반가량이 소실됐다. 불은 오후 7시50분쯤 완전히 꺼졌다.
당시 현장 영상에 소방관들이 차량 가까이에 바싹 붙어 거센 물줄기를 쏟아부어도 화염이 쉽게 잡히지 않는 장면이 나왔다.
소방 당국은 차량 주인이 화재 발생 1시간 전인 오후 5시쯤 차량에 점검등이 들어오고 시동이 꺼지자 서비스센터를 방문했고, 혹시 모를 화재에 대비해 소방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불꽃은 차량 아랫부분에서 처음 목격됐다. 소방 당국은 배터리 내부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는 열 폭주 현상에 따라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SBS 인터뷰에서 “‘열 폭주’ 같은 현상이 생겨서 700~800도에서 1000도가 넘어가는 부분들이 빠른 시간 내에 진행되다 보니까 (화재 진압에) 적어도 2~3시간에서 7~8시간, 또 사용되는 물의 양도 최대 100배까지 (사용된다)”라고 설명했다.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물에 완전히 담그는 이동형 소화 수조가 대안으로 꼽힌다. 하지만 현재 전국에 있는 소화 수조는 지난해 8월 기준 15개뿐이다. 전국 소방서가 235개인 점을 감안하면 1개 수조를 15개 소방서가 나눠 써야 하는 셈이다.
앞서 지난달 26일 새벽에도 서울 강북구에서 충전 중이던 전기 승합차에서 불이 나 주민 20여명이 긴급 대피하는 일이 있었다. 당시 화재 진압에는 8시간 반이 걸렸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