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만 60세 이상 장년층 기업인(CEO) 비중이 전국 주요 도시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부산울산중소기업중앙회가 통계청 등 정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 기준 부산의 만 60세 이상 경영자 비중은 29.6%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12년과 비교하면 8년 동안 7.6%포인트 증가했다. 제조기업은 14.7%포인트, 비제조기업은 6.8%포인트 각각 증가하면서 제조업의 고령화가 비제조업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표자가 60세 이상인 제조기업 수는 8년 전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부산의 16개 구·군별로는 고령화가 심화하고 있는 영도구와 중구 등 구도심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9년 기준으로 60세 이상 대표자 비중은 영도구가 35.5%로 가장 높았고, 제조기업은 중구(41.7%), 비제조기업은 영도구(35.1%)가 가장 높았다,
영도구를 비롯해 동·서구는 오는 2040년 10명 중 5명 이상이 고령인이 차지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는 등 부산에서 고령화 현상이 가장 심각한 지역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정부가 지정한 인구 감소 지역에도 포함된 지역이다.
국세청 2021년 기준 자료를 보면 부산지역 폐업자 중 6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26.0%, 초고령자인 7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7.9%로, 6대 광역시 중 가장 높았다. 이는 고령화에 따른 기업 승계가 원활하지 않은 결과로 판단된다.
고령의 경영자는 새로운 환경과 리스크에 대한 발 빠른 대처가 어렵다는 단순한 문제를 넘어 기업의 영속성 문제와 직결된다. 즉 기업의 경영 승계가 어려워 회사를 매각하거나 폐업한다면 그동안 축적된 기술과 경영 노하우 등 유·무형 자산과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고, 이는 곧 지역 경제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한다. 이 때문에 기업 고령화가 폐업·도산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가업상속공제제도 보완 등을 통해 기업승계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중소기업중앙회의 입장이다.
허현도 부산울산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은 “부산은 7개 특별·광역시 중 가장 먼저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을 정도로 고령화 현상이 극심한 지역으로 기업 대표자의 고령화 역시 전국에서 가장 심각하다”며 “가업 승계를 눈앞에 둔 지역기업들의 경영 영속성 확보와 기업가치 보존을 위해서라도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고 전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