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3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사법리스크’에 대해 “이 대표가 구속된다면 대행체제로 가야 할 것이고, 불구속된다면 대표의 영향력이 줄어들겠지만, 분당으로는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위원장은 이날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비(非)이재명계의 탈당·분당설에 대해 “그렇게 희망하는 사람도 많지만, 이재명과 민주당을 일치시켜서 볼 필요는 없다”며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는 개인적인 리스크이지, 그 자체가 당의 리스크라고는 보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김 전 위원장은 “민주당에서 이재명 지지세력과 비이재명 세력 사이에 갈등은 있지만 선거를 앞두고 분당해서 실익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바보같은 짓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진행자가 ‘검찰이 이 대표를 기소하고 재판이 진행돼도 확정적인 사실이 나오지 않으면 이 대표 체제가 유지된다는 것이냐’고 묻자 “만약 이 대표가 구속된다면 대행체제로 운영될 수밖에 없고 불구속 상태로 기소되면 이 대표의 영향력이 위축되는 상황이 올 것”이라면서도 “그 정도 선에서 그치지 분당으로는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또 국민의힘의 분당 가능성에 대해서도 가능성이 없다고 전망했다. ‘전당대회 룰, 조직위원장 인선 등을 놓고 파열음이 일었는데 국민의힘이 분당할 가능성이 있느냐’는 진행자 질문에 “거의 불가능하다”고 일축했다.
이어 ‘유승민 전 의원과 이준석 전 대표가 총선에 출마하기 위해 공천을 받으려고 열심히 할 것 같은가’라는 질문에는 “그때 가봐야 알겠지만, 이 전 대표는 총선에 출마할 가능성은 있다고 본다. 유 전 의원과 이 전 대표가 처한 상황이 다르다”고 말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