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하러 오지 않는다” 위기의 조선업, 대책마련 시급

입력 2023-01-03 10:21 수정 2023-01-03 10:38

경남지역 대표 주력산업 중 하나인 조선업 인력수급 난 해소를 위해 원-하청노사 파트너십을 중심으로 한 노동정책과 인력양성 및 고용 촉진의 일자리정책이 단계적·종합적으로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남연구원은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의 조사자료에 따르면 경남의 중소형 조선사 4개사의 직영 및 사내 협력사 기능직 생산인력은 올해 2/4분기부터 내년 4분기 대비 약 3000명 더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선박 건조에 직접 참여하는 직무(생산직접직)의 인력만을 대상으로 한 수치로 물량팀 등을 포함할 때 생산 정점 시기인 2024년에 8600명 상당의 인력이 추가로 필요할 것이란 의견도 있다.

경남도는 ‘조선업 생산기술 인력양성 사업’(산자부, 2020~2022)의 원만한 추진을 위해 교육훈련수당, 채용지원금을 지원해 교육훈련생의 안정적 참여(중도이탈 예방)및 취업을 지원해 왔다.

이 사업은 전국 4개 지역에서 2022년 수료자 총 4174명 중 경남 조선업 관련 기업으로 1369명이 취업하는 등 총 2947명(2022년 수료 대비 취업률 70.6%, 취업자 고용유지율50%)이 취업해 조선업 생산인력 공급 수요 해소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장연주 경남연구원 연구위원은 “조선업 작업장 환경 열악과 급여 수준이 낮음에 따른 노동자 이탈 완화와 기존 및 신규 공급 인력의 고용유지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더욱 높아져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당장 조선업 인력난 해소에 외국인노동자 유입 전략이 유용할지라도 국내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혜안 마련이 필요 하다”고 덧붙였다.

경남지역 조선업 인력수급 난 해소방안 중 일자리정책은 조선업 생산기술 인력양성 확대, 교육 참여자 인센티브 강화, 고부가가치 스마트·친환경 선박 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기계·조선·해양 공학계열 대학 지원 확대 등이다.

또 노동정책은 원청의 사내하청 노동 여건 개선 책임 강화 지원, 작업 관행 개선 지원, 협력업체의 대형화·전문화 및 사회보험 사각지대 완화 지원, 원하청노사공동협의체 운영 등을 제안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