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 “이재명 尹인사회 불참, 잘한 일 아냐…李·黨 분리해야”

입력 2023-01-03 09:50 수정 2023-01-03 12:53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박홍근 원내대표, 문희상 상임고문이 지난 1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에서 열린 2023 신년인사회에서 건배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인 문희상 전 국회의장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대통령실 신년인사회에 참석하지 않은 것에 대해 “잘한 일이라고는 생각할 수 없지만 대통령실의 아주 세심한 배려가 있었어야 했다”고 말했다.

문 의장은 3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야당 대표 시절에도) 대통령이 주관하는 행사에는 한 번도 빼지 않고 꼭 갔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대통령의 상징성과 국가의 첫날을 시작한다는 (신년인사회의) 의미 등 이런 큰 행사에 참석해야 한다는 지론을 갖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이어 “그러나 그것도 대통령실의 아주 세심한 배려가 전제다. 나 같은 경우 대통령이 직접 전화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문 전 의장은 “부의장 할 때 이명박 전 대통령이 제일 먼저 청와대에 초청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협치를 하려면 껄끄럽더라도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 대화해야 내용이 뭐가 문제인지 알게 되는 것 아닌가”라며 “가진 쪽, 힘이 있는 쪽, 대통령이 먼저 손을 내미는 게 순서”라고 말했다.

문 전 의장은 또 지난 2일 민주당 신년인사회에서의 발언으로 주목받은 ‘교토삼굴’(狡兎三窟·꾀 있는 토끼는 굴을 세 개 파놓는다) 사자성어에 대해 “토끼는 영민한 동물이고 영민하다는 것은 대안을 준비하고 있다는 것인데, 이를 강조하려고 한 말이 뜻밖의 다른 해석이 나왔지만 그건 내 뜻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문 전 의장 발언을 놓고 일각에선 사법리스크 우려를 코앞에 맞닥뜨린 이 대표를 옆에 두고 그런 발언을 했다는 해석을 내놓았다.

진행자가 “일각에서 주장하는 ‘디커플링’, 당과 당대표 관련 이슈를 분리대응하는 것도 대안으로 놓고 생각해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문 의장은 “그렇다”고 답했다. 그는 “교토삼굴에 다 포함된 뜻”이라며 “그 안에서 모두 숙의하고 대화하는 중에 극복할 길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진행자가 “이 대표 사법리스크에 대한 당내 다양한 목소리가 나와야 한다는 것과 관련한 생각은 무엇인가”라고 묻자 문 의장은 “그거는 여기서 말할 수 없다”면서도 “교토는 삼굴이다”라고 답했다. 대안에 대한 고민이 다양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윤석열 대통령이 전날 신년 인터뷰를 통해 중대선거구제를 골자로 한 선거법 개정을 언급한 것과 관련, “방향이 대찬성”이라고 말했다.

문 전 의장은 “국회의장께서도 같은 주장을 하셨고 대통령의 언급까지 타이밍이 오는 것 같다”며 “이 기회를 놓치면 안 된다.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개헌까지도 생각하고 논의에 붙여서 집권 초기에 1~2년 안에 해야 한다. 타이밍이 꼭 맞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그렇게 생각한다는 것은 우리의 행운”이라고도 말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