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설 명절을 앞두고 대대적인 화재예방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절반이 넘고 1월이 다른 달에 비해 화재발생 건수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경기도 소방재난본부는 오는 31일까지 다중이용시설 화재안전조사 추진과 화재취약대상 소방관서장 현장 지도 강화 등 ‘설 명절 대비 화재예방대책’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소방서 화재안전조사관이 13일까지 다중이용시설, 숙박시설 등 9255곳과 전통시장 163곳을 대상으로 불시 화재안전조사에 나서 소방시설과 비상구 폐쇄·차단행위, 피난통로 장애물 적치여부 등을 확인한다.
안전한 일터 조성을 위한 ‘소방안전 더(The) 3대 캠페인’도 전개, 현문현답(現問現答) 현장안전컨설팅을 실시한다. 아울러 외국인 숙소 ‘주택용 소방시설 지원’ 포스터와 ‘비상구는 생명의 문’ 스티커 등 홍보물을 배부한다.
또 공장과 물류창고, 공사장 등 화재취약대상을 선정해 소방서 센터장 이상 간부가 주 1회 이상 현장을 찾아 화재위험 요인을 사전에 제거한다. 주거용 비닐하우스 등 화재취약 주거시설도 지도 방문해 겨울철 난방용품 안전수칙과 화재경보기, 소화기 등 주택용 소방시설 지원 및 사용법을 안내한다.
도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해까지 최근 5년간 설 연휴 기간 경기지역에서는 화재 512건, 인명피해 28명(사망 4명·부상 24명), 재산피해 74억원이 발생했다.
발생 원인은 부주의가 263건으로 51.4%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전기적 요인 124건(24.2%), 기계적 요인 64건(12.5%) 등이었다.
부주의 중에서는 담뱃불 화재가 86건(32.7%), 불씨 등 화원방치 44건(16.7%), 음식물 조리 32(12.2%) 순이다.
조선호 도 소방재난본부장은 “도내 35개 전 소방서가 화재특별경계 근무에 돌입하고, 24시간 상황관리체계를 구축하는 등 빈틈없는 현장대응 체계를 운영할 방침”이라며 “도민이 안전하고 행복한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