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잠들지 않는 감시자’…광주 CCTV 사회안전망 탁월

입력 2023-01-02 10:19

광주지역 사회안전망이 새해 더 촘촘해진다. 범죄를 막기 위한 통합관제 방범용 CCTV 1만여 대가 ‘24시간 잠들지 않는 감시자’로서 물샐틈없는 시민안전 지킴이 역할을 맡는다.

광주시는 2일 “마약과 강도 등 강력범죄 예방과 뺑소니 교통사고를 저지하는 방범용 CCTV가 올해 1만 대를 훌쩍 넘어설 것”이라고 밝혔다.

광주 CCTV 통합관제센터(이하 관제센터)가 지난해 LH와 5개 자치구 등에서 483대를 이관받은 데 이어 올해도 627대를 넘겨받아 통합관제 가동범위를 세분화하게 된다는 것이다.

광주시와 주택재개발조합 등도 주민 민원 등을 반영해 해마다 CCTV 설치를 늘려 관리권을 관제센터에 넘기고 있다.

현재 도심 곳곳에 설치된 CCTV는 9878대로 방범, 어린이와 부녀자 보호, 차량번호 인식 등에 활용 중이다.

관제센터는 2016년 2570대를 가동하던 통합관제 CCTV가 2017년 322대, 2018년 831대, 2019년 1467대, 2020년 1183대, 2021년 1636대, 2022년 1869대 늘어났다고 밝혔다.

인구 7배 가까이 많고 행정구역이 넓은 서울과 계획 도심이 대부분인 세종을 제외한 특·광역시 중 CCTV가 가장 많다.

광주시는 2013년 5월부터 전국 최초로 광역 단위 통합관제 체제를 도입 중이다.

베테랑 관제원 89명이 5개 조 3교대로 모세혈관처럼 얽힌 CCTV를 365일 실시간 모니터링해 시민들의 일상생활 안전망을 구축하고 있다.

경찰·소방 등 관계기관 부서와 협력해 각종 사건·사고를 해결하거나 예방하는 데도 큰 몫을 하고 있다.

그동안 강도와 절도 등 719건의 강력범죄 검거에 든든한 ‘수훈갑’이 됐을 뿐 아니라 응급환자 이송과 교통사고 후속 조치, 치매 어르신·영유아 실종, 자살기도자 구조 등 분야에서도 4830여 건의 실적을 올렸다.

코로나19 범유행이 한창일 때는 자가격리 이탈자 동선을 신속히 파악하기도 했다.

관제센터는 사생활 보호를 위해 수사목적 영상일 경우에도 암호화 작업과 함께 14일 후 자동폐기 등을 통해 인권보호 차원의 관리대책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남주 광주시 시민안전실장은 “범죄 사각·취약 지대를 없애는 CCTV 통합관제센터를 토대로 안전도시 광주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