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새해 달라지는 시책…시민 삶의 질 개선에 집중

입력 2022-12-29 12:21
부산시청. 부산시 제공

부산시의 내년도 정책이 시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해 달라진다. 부산시는 2023년부터 달라지는 5대 분야 79개 제도와 시책을 29일 발표했다.

먼저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고용 유지와 확대를 한 상시근로자 5인 미만 제조업종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최대 4명까지 1인당 연 30만원의 4대 보험료 사업주 부담금을 지원한다. 부산형 생활임금제를 전년 대비 1.9% 인상한 시급 1만1074원으로 정해 부산시 및 산하 공공기관의 근로자의 생활권 향상도 도모한다.

보도가 미설치 된 생활도로에 차도 일부를 축소해 보도를 신설·확장해 안전항 보행환경을 조성한다. 대중교통에 냉·난방 시스템, 와이파이, 무선충전기 등을 설치해 쾌적한 승·하차대기 공간을 제공한다.

시는 내년부터 전년 대비 무상급식 단가를 10% 인상해 무상급식을 먹는 유치원생과 학생들에게 보다 질 좋은 무상급식을 제공한다. 어린이집 이용 영·유아 대상 급·간식 재료 구매비도 지원한다. 또 만 0세, 만1세아에 대한 부모 급여를 신설해 각각 월 70만원, 월 35만원을 지원한다.

내년부터는 식품 등에 표시된 보관 방법을 준수할 때 섭취해도 안전에 이상이 없는 소비자 중심의 소비기한 표시제를 시행한다. 종이컵, 플라스틱 빨대, 플라스틱 젓는 막대, 우산 비닐 4개 항목은 1회용품 규제 대상에 추가한다.

공중화장실에 비상벨을 설치하고, 심폐소생을 위한 응급 장비 구비 의무를 강화하는 등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에 힘쓴다.

문화소외계층 23만7826명을 대상으로 문화 활동을 위한 1인당 11만원을 지원한다. 국가·시 지정 문화재, 등록문화재 및 보존 가치가 있는 비지정문화재에 대한 문화재 돌봄 사업도 현재 문화재 115개소에서 138개소로 확대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부산을 ‘시민행복도시’의 가치가 공존하는 도시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제도와 정책을 보다 시민 밀착형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며 “변경되는 제도와 시책으로 인해 시민들이 혼란을 겪지 않고 새롭고 다양한 정책들을 쉽게 아실 수 있도록 홍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