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대통령의 최측근인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28일 특별사면으로 출소하자 더불어민주당이 출렁이고 있다. 친문(친문재인) 진영에서 김 전 지사의 정치활동 재개를 위한 ‘복권 운동’이 거론되는 가운데 친명(친이재명)계에서는 김 전 지사가 위협적이지 않다는 반응이 나온다.
김 전 지사는 이날 0시쯤 창원교도소를 나오면서 “따뜻한 봄에 나오고 싶었는데 본의 아니게 추운 겨울에 나왔다”며 “이번 사면은 받고 싶지 않은 선물을 억지로 받은 셈”이라고 말했다. 이어 “원치 않았던 선물이라 고맙다고 할 수도 없고, 돌려보내고 싶어도 돌려보낼 방법이 전혀 없었다”면서 “국민 통합을 위해서라는데 통합은 이런 일방통행, 우격다짐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을 국민이 훨씬 더 잘 알고 계실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석열정부의 일방적 사면 결정을 비판한 것이다.
김 전 지사는 이날 경남 김해 봉하마을을 찾아 권양숙 여사를 예방하고,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했다.
김 전 지사 출소에 그동안 구심점이 없었던 친문 진영에서는 벌써부터 기대감이 엿보인다. 친문계 핵심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복권이 이뤄지지 않아 당장 정치적 활동을 하기는 어렵지만, 시간이 갈수록 김 전 지사를 향한 국민적 요구가 커질 것”이라며 “김 전 지사를 위한 복권 운동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비명(비이재명)계 재선 의원은 “이재명 대표에 대한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 자연스럽게 김 전 지사의 공간이 결정되지 않겠냐”면서도 “윤 대통령이 김 전 지사를 복권해줄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점이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말했다.
반면 친명계에서는 김 전 지사 출소가 당내 권력 구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친명계 핵심 관계자는 “김 전 지사가 복권되지 않아 정치활동을 할 수 없다 보니 차기 대선 국면에서 이 대표의 라이벌이 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 수도권 친명계 의원도 “김 전 지사는 사실상 문 전 대통령의 아바타 같은 이미지가 있다”며 “전 정권 사람이라는 꼬리표가 붙으면 당내 지분은 있을지 몰라도 확장력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최승욱 안규영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