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병원의 새 보금자리를 위한 ‘미래형 뉴 스마트병원’ 건립사업이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선정됐다. 이로써 광주·전남 지역민의 숙원인 새병원 건립이 첫 발을 내딛는다.
27일 전남대에 따르면 기획재정부가 이날 오전 제8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전남대병원 새병원 건립사업 안건에 대해 심의한 결과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선정했다. 지난 8월 제3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탈락된 후 두 번째 도전 만에 통과된 것이다.
전남대병원은 수년전부터 노후된 병원의 물리적·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형 의료시스템을 구축해 수도권과 의료격차 해소를 위한 ‘미래형 뉴 스마트병원’ 건립사업을 진행해왔다.
2021년 1월 새병원건립추진단을 발족한 이후 총 18차례의 회의 끝에 전남대 학동캠퍼스 부지에 새병원을 건립한다고 같은 해 11월 발표했다.
이후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함께 1년간 사전타당성 분석에 나선 결과 정부 공공의료 강화 정책, 역사회 중심의 시행 정책, 의료기관 기능재정립 기본 계획 등 정부정책·상위 계획 등과 부합되고 경제적 타당성(B/C) 역시 2.27을 받아 지난 10월 기획재정부에 두 번째 예비타당성조사 요구서를 제출, 대상사업으로 선정된 것이다.
‘미래형 뉴 스마트병원’은 1300병상, 연면적 27만㎡(8만1675평)에 달하는 지역 최대 규모다. 오는 2034년까지 11년간 1조2150억원(국고 3040억원, 자부담 911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2단계에 걸쳐 신축할 새병원은 1단계(동관 건물)로 오는 2030년까지 전남의대 학동캠퍼스와 전남대 간호대학 부지에 700병상 규모로 신축건물을 완공한 후 기존 1동·3동의 진료기능과 어린이병원(6동) 및 부속동(2동)의 진료기능을 이전, 개원하게 된다.
안영근 전남대병원장은 “광주·전남 지역민과 정치권의 도움을 받아 새병원 건립의 첫 발을 내딛게 됐다”며 “지역의료 수준을 끌어올리는 데 앞장서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