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지난 5년간 축구장 4700여개 규모의 ‘꿀벌 먹이 숲(밀원숲)’을 조성하고 800만 그루 이상의 밀원수(蜜源樹)를 심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밀원숲 조성·육성 1단계(2018~2022년) 사업을 마무리했다고 27일 밝혔다.
1단계 사업 기간 도는 총 3379만9000㎡의 밀원숲을 조성했다. 이는 축구장(7140㎡) 4733개 크기이며 당초 목표였던 2579만㎡보다 31% 넓은 규모다.
연도별 밀원숲 조성 면적은 2018년 547만㎡, 2019년 576만㎡, 2020년 798만㎡, 지난해 756만㎡, 올해 702만㎡ 등이다.
시·군별로는 금산이 609만㎡로 가장 넓고 공주 387만㎡, 논산 294만㎡, 부여 278만㎡, 청양 252만㎡ 순이다.
식재 나무 수는 2018년 134만그루, 2019년 191만그루, 2020년 190만그루, 지난해 180만그루, 올해 154만그루 등이다.
수종별로는 백합나무의 경우 1212만㎡에 338만그루를, 헛개나무는 802만㎡에 228만그루, 옻나무 499만㎡에 87만그루, 밤나무는 190만㎡에 8만그루를 심었다.
도는 내년부터 2027년까지 2단계 사업을 통해 2905만㎡의 밀원숲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사업 추진 방향은 밀원수종 다양화, 쉬나무 등 채밀량이 많은 수종 묘목대행생산 지정, 마을 공한지 등 유휴 토지를 활용한 밀원수림 조성, 수종·개화 시기별 맞춤형 밀원수 조성 등으로 잡았다.
충남의 양봉농가는 2020년 기준 2400호로 전국 2만7400호의 9.1% 수준이다. 사육군수는 26만8000군으로 전국 267만9000군의 10%를 차지하고 있다. 같은 해 꿀 생산량은 1만 t이며 생산액은 2080억원으로 조사됐다.
꿀벌은 전 세계 과채 수분의 70% 이상을 담당하고 인간에게 연간 50조원의 경제적 가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벌이 채밀 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생태계 자체가 흔들린다고 보고 있다.
최근 발생한 꿀벌 집단 폐사·실종의 원인으로는 낭충봉아부패병 등 병해충과 이상기후, 농약 사용, 대기오염, 밀원수 감소 등이 꼽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밀원수 복원·다양화, 꿀벌 품종 개발 등이 있다.
충남도 관계자는 “꿀벌 실종 사태 해결의 실마리 중 하나인 밀원수를 일찌감치 심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밀원숲 조성 사업이 큰 의미가 있다”며 “채밀 수종 다양화로 양봉산업 활성화를 뒷받침하고 경제림 육성 기반을 확충하겠다”고 말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