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 산하 정책금융기관(KDB산업은행·IBK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이 내년 산업계에 총 205조원의 정책금융자금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특히 반도체, 원전, 바이오, 자동차 등 핵심 산업이 포함된 ‘5대 전략과제’를 선정하고 여기에만 81조원을 쏟아붓기로 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6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2023년도 정책금융기관-정부부처 간 자금공급 협약식’을 체결하고 내년도 산업계 정책금융지원 계획을 밝혔다. 내년도 자금공급 총규모는 올해(194조원) 대비 11조원(5.7%) 증가한 205조원에 달한다. 산업은행이 73조5000억원, 기업은행이 71조원, 신용보증기금이 60조5000억원을 지원한다.
이 중 81조원이 투입되는 5대 전략과제는 앞서 정부가 밝힌 ‘신성장 4.0’에 필요한 핵심사업 및 각 부처가 제안한 사업 위주로 구성됐다. 글로벌 초격차사업(반도체·미래차 등), 미래유망사업(바이오·미디어·수소생태계 등) 사업재편·산업구조고도화(자동차 내연부품·조선·철강 등)에 각각 16조원, 13조원, 17조원을 지원한다.
유니콘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중소·중견기업 지원에도 9조원이 배정됐다. 유니콘 기업을 만들어내기 위해 초격차 스타트업 1000개사를 선정하고 유니콘 단계를 ‘아기유니콘’ ‘예비유니콘’ 등으로 나누는 방안도 포함됐다. 그 외 대외여건 악화에 따른 기업경영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26조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이번 정책금융 지원 상품에는 우대금리 등 혜택이 적용되며 핵심 산업정책 분야에 집중적으로 배정된다. 반도체 분야의 설비투자붐업대출(산업은행), 국토교통분야 녹색성장산업보증(신보), 해양수산분야 혁신성장비전대출(기업은행) 등이 제시됐다. 금융위는 상품 성격에 따라 0.1~1.0%포인트 안팎의 대출 우대금리를 적용할 계획이다.
정책금융과 민간 산업계의 자금매칭을 통해 산업자금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방안도 언급됐다. 가령 대기업이 산은·기은에 저금리로 자금을 예치하면 은행들은 저렴한 조달금리를 이용해 대기업 협력업체에 저금리 대출을 지원해주는 식이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