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이용 나서

입력 2022-12-26 14:36

경기도가 전동 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Personal Mobility)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사고 우려도 높아지자 안전한 이용을 위한 다가적인 대책을 마련해 실행에 나서기로 했다.

경기도는 개인형 이동장치의 안전한 이용에 관한 종합대책 수립과 함께 대책을 실행할 ‘민관 합동 협의체’를 다음 달 중 구성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민관 합동 협의체에는 도와 경기도의회, 경기도교육청, 경기남·북부경찰청, 경기교통공사, 수원시정연구원, 한국PM산업협회, 도내 공유PM업체 등이 참여한다.

도는 이들 기관과 적극 협력해 개인형 이동장치의 안전 이용에 관한 종합대책을 수립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도는 내년 1월 중으로 이들 기관과 간담회를 지속적으로 갖으며, 민·관 합동 협의체를 구성을 마친다.

민·관 합동 협의체는 경기도 등 관의 제도적·재정적 지원 속에서 공유PM업체 등 민간부문이 ‘안전 이용 활성화’ 방안에 자발적으로 동참할 수 있는 방향으로 운영된다.

또 수립된 종합대책은 경기도평생학습포털(Gseek)을 통해 안전 교육 콘텐츠로 게시하며, G버스에서도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이용 홍보 영상을 송출 예정이다.

앞서 도는 지난해부터 시·군 공모 사업으로 개인형 이동장치 활성화 시범지구 및 전용 주차시설 조성을 추진했다.

지난해 7월부터 올해 7월까지 조성된 시범지구 3개소는 수원(아주대, 월드컵경기장 인근·1km), 성남(판교역 일원·0.6km), 하남(풍산역 일원·1.3km)이다.

이와 함께 올 12월까지 수원(116개), 하남(8개), 안양(20개), 성남(57개), 양주(5개), 부천(6개), 시흥(15개)에도 각각 개인형 이동장치 5~10개를 주차할 수 있는 부스·거치형 시설을 총 227개 마련했다.

박래혁 도 광역교통정책과장은 “개인형 이동장치 시범지구를 몇 개월간 운영하면서 안전한 이용을 위해 추가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민관 협의체를 구성해 도민들이 보다 안전하게 개인형 이동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