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인의 배우자 선택 기준 1순위는 성격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를 선택할 때 직업이나 재산보다 성격을 본다는 사람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외모를 본다는 사람은 극히 드물었다.
24일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2년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배우자 선택 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 답변 63.1%가 ‘성격’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직업(장래성)’ 13.7%, ‘재산(경제력)’ 10.7%, ‘가정환경’ 8%, ‘외모’ 2.7%였다.
이번 조사는 문체부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5100명을 대상으로 했고, 가구방문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해당 조사는 1996년에 시작해 2013년부터는 3년마다 실시하고 있고, 올해로 8번째 조사다. 1996년 첫 조사 때부터 위 질문에 대한 답은 매번 성격이 1위를 차지했다.
성별로 봐도 남녀 모두 성격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남성 응답자(2568명)의 64.3%가 배우자 선택 기준 1순위로 성격을 꼽았고, 여성(2532명) 역시 응답자의 61.9%가 성격을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남성이 두 번째로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가정환경(28.8%)이었다. 여성은 재산(경제력)이 29.1%로 2순위를 차지했다.
‘혼전순결은 지켜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에는 ‘그렇다’가 42.4%, ‘그렇지 않다’는 57.6%로 나타났다. 1996년 첫 조사 이후 ‘그렇지 않다’는 비율은 남녀 모두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혼전순결을 지켜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청년층의 경우 23%가 혼전순결을 지켜야 한다고 응답했고, 노년층은 65.7%가 지켜야 한다고 답했다.
이외에 ‘결혼을 반드시 해야한다’고 답한 비율은 17.6%에 불과해 1996년(36.7%) 첫 조사부터 계속 감소하고 있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