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이 인공지능(AI)이 음악과 소설 등 예술 문화 영역에서 본격 적용되고 있다면서 경기도가 인공지능과 예술 간 공존에 기반한 ‘인공지능 예술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나섰다.
경기연구원은 22일 이러한 내용 중심의 ‘인공지능과 함께 하는 예술’ 보고서를 발간했다.
경기연은 보고서를 통해 구체적 사례를 제시했다.
광주과학기술원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작곡가 ‘이봄’은 화성학 및 대위법 등 주요 음악 이론을 학습해 음악 샘플을 듣고 사람이 선호하는 음악적 속성을 분석하고, 음과 리듬을 조합해 선율을 만든다. 그렇게 나온 작곡량은 6년간 30만 곡, 그중 3만 곡을 판매해 6억원의 매출이 발생했다.
그러면서 경기연은 중앙정부 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콘텐츠 관련 이론 및 실습 교육 등을 지자체와 협력해 각 지역에서 실시될 수 있도록 확산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경기도는 중앙정부와 협력에 따른 정책적 지원과 별도로 경기도 내 4차산업혁명 관련 기업 등 민간부문, 대학, 공공이 연계 협력해 예술과 인공지능의 공존을 통한 융복합적 창조 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경기연은 인공지능 예술시대, 경쟁이 아닌 공존을 위한 준비로 몇가지를 제안했다.
인공지능 창작물의 예술 창작물로서 인정 여부 등에 대한 담론 전개, 인공지능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인정·문화예술 범주로 법적 인정여부 등 담론 전개를 통한 법·제도 개선 근거 마련, 문화예술분야 관련 콘텐츠 산업 기반 확대 및 성장 기대 속에서 기술적 측면은 국가적 지원, 지역의 고유한 역사·문화·예술에서 비롯될 수밖에 없는 내용적 측면(스토리 텔링 등)은 지자체의 적극적 지원 등 지자체와 중앙정부의 역할 분담과 협력에 기반한 정책적 지원 등이다.
김성하 경기연 연구위원은 “인공지능과 예술에 기반한 새로운 직업 창출은 곧 지역경제와 국가경제의 동반 성장을 이끌어내는 동력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