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유출 막자…‘제주형 청년정책’ 온라인으로 의견 받는다

입력 2022-12-21 17:16 수정 2022-12-21 17:17

제주도가 청년층의 안정적인 사회 진입을 지원하기 위한 제주형 청년정책 기초안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도는 도 홈페이지 정책토론방을 통해 ‘제주 청년정책 기본계획안’에 대한 의견을 받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기간은 21일부터 내달 4일까지다. 도민이면 누구나 본인 인증 후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내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추진될 제주 청년정책 기본계획은 오영훈 제주지사가 핵심 공약으로 내건 ‘제주형 청년보장제’ 실현을 위한 세부 시책이다. 최근 실시한 제주 청년통계 결과를 바탕으로 신규 정책을 보완해 작성했다.

기초 안에는 114개 추진 과제가 담겼다.

청년의 생애주기를 진입기, 구직기, 직장기, 정착기로 나누고 제주 거주 청년들이 가장 문제로 꼽는 일자리와 주거 불안 해소 방안을 중점 설계했다. 총 예산은 5157억원이 들 것으로 추계했다.

이중환 제주도 기획조정실장은 “지난 현장토론회에 이어 더 많은 청년의 목소리를 담기 위해 온라인 소통창구를 마련했다”며 “청년보장제 정책의 주인인 제주청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청년 주권 실현에 한걸음 더 다가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앞서 제주도가 1982~2003년 사이 출생한 제주도민 1500명을 대상으로 방문 면접 조사한 2022 제주청년사회경제 실태조사에선 ‘제주 청년들이 겪는 어려움’을 묻는 문항(복수응답)에 50.9%가 ‘일자리 부족’을 들었다. 이어 40.2%가 ‘열악한 근로환경’, 30.2%가 ‘높은 생활물가’를 꼽았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