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 경기교육감 “내년 과밀학교 문제 대부분 해결될 것”

입력 2022-12-15 16:15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15일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경기도교육 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박재구 기자

학교 부족 등 최근 경기도 지역 구도심과 신도심, 지자체별로 발생하는 교육 불균형이 해소될 전망이다.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은 15일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내년에는 경기도 과밀학교 문제는 대부분 해결될 것”이라며 “재정 300억원 이하의 학교의 경우 지역 내 티오에서 운영하면 중앙투자심사위원회의 심사를 생략하는 것으로 교육부의 운영 규정이 개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기도 내 학교 총수가 늘지 않는 범위에서 한 지자체가 학생 부족 등으로 학교를 폐교한다면 학생 수가 많은 다른 지자체에 학교를 설립할 수 있는 것이다.

임 교육감은 “최근 의정부시의 경우 가능동에 있는 의정부고등학교를 고산동으로 옮기자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 의정부 내에서만 합의가 된다면 실제로 이뤄질 수 있게 될 것”이라면서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에서도 인구가 줄어드는 곳에서 교사와 학교 티오를 양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임 교육감은 ‘9시 등교 자율화’를 0교시 부활로 오해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쉬함을 드러냈다.

임 교육감은 “지역마다 상황이 다르고, 계절마다, 고3과 고1이 다른데 등교 시간을 왜 강요할까 고민했다. 이에 각 학교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등교시간을 정하도록 자율화 했다”면서 “등교시간 자율화를 0교시 부활로 간주해 전교조는 반발하고 있다. 전교조의 철학이 정말 진보라면 획일적으로 강요하는 그런 철학은 진보의 기본 철학에 맞지 않는다”고 아쉬워 했다.

이어 “자율화라고 했지 9시 등교를 하지 말라고 한 것이 아니다. 수능이 8시30분 시작이니까 이에 맞춘 학교도 있어 방문했다. 학생들의 반응도 좋았다”면서 “등교시간 자율화 정책이 자리잡은 만큼 이제 10시에 시작해 오후 4시에 끝나는 학교도 나오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임 교육감은 두 지역을 함께 담당하는 지원청의 독립에 대해 “행안부, 기재부에서 몽땅 조직 변화 승인 어려울 거다. 그래서 지금 지위를 독립적 업무를 진행하도록 센터 개념의 개편을 계획하고 있다”며 “독립지원청에 앞서 센터로 행정 체제를 갖추고 단계적으로 독립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