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5일 “오늘부터 비대위는 전당대회 개최 방안 논의를 시작하겠다”며 “이번 전대를 당원의, 당원에 의한, 당원을 위한 전진과 축제로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 위원장은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당의 진로는 당원들이 결정해야 한다”며 “문재인정부를 무너뜨리고 윤석열정부를 탄생시킨 책임당원들에게 당의 미래를 결정할 지도부 선출을 맡기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당대표 선출 시 당원투표와 일반국민 여론조사 결과를 ‘7대 3’으로 반영하는 현행 전대 룰을 당심 비중을 확대하는 쪽으로 손보겠다는 것이다.
정 위원장은 특히 “유럽 내각제 국가들과 미국의 경우 전당대회 의사결정을 위해 여론조사를 채택한 국가가 어디에도 없다”면서 “전대는 당의 총의를 묻는 자리지 국민 인기를 묻는 것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대 룰 변경과 관련해 “일각에서 나오는 (당권 주자들의) 유불리 문제는 해당이 안 된다”고 잘라 말했다.
정 위원장은 “과거 우리 당은 50대 이상이 주류를 이루는 당으로 인식됐는데 최근 당원 비율에선 20·30·40대가 33%”라면서 “누구에게 불리하고 누구에게 유리한 당원 구성이 아니다. 50대 이상이 책임당원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던 과거와 완전히 달라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 지도부가 룰 변경 논의를 공식화하면서 반대 의견도 당내에서 거세게 분출하고 있다.
당권 주자로 거론되는 윤상현 의원은 KBS라디오에 나와 “(개별 주자) 유불리의 문제가 아니라 당의 총선 승리를 위한 유불리를 따져야 한다”며 “우리가 더불어민주당보다 민심 비율이 적어서야 되겠느냐. 룰 변경에 신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허은아 의원도 BBS라디오 인터뷰에서 ”국민의힘은 지난 18년 동안 전대 룰을 지켜 왔다”며 “룰 수정에 대해 찬성과 반대를 말하기 전에 어떤 것이 국민을 향한 일인지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웅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전대 룰 변경에 대해 어떤 장식을 해봐도 그것이 ‘유승민 공포증’이라는 것을 누구나 알고 있다”며 “‘당원들의 축제’라고 부르짖지만 ‘윤핵관만의 축제’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고 비판했다.
이준석 전 대표도 페이스북을 통해 “상식선에서는 어떻게 입시제도를 바꿔대도 결국은 대학 갈 사람이 간다”면서 “1등 자르고 5등 대학 보내려고 하는 순간 그게 자기모순”이라고 꼬집었다.
손재호 구승은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