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공무원 월북조작’ 의혹 핵심 박지원, 14일 검찰 출석

입력 2022-12-13 01:18 수정 2022-12-13 01:21
지난 10월 27일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및 흉악범죄자 추방 사건 관련 기자회견'에 참석한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 국회사진기자단

서해 피격 공무원 이대준씨 월북 조작 의혹 사건의 핵심으로 고발된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이 14일 검찰에 출석할 예정이다. 박 전 원장은 2020년 9월 이씨 실종과 피격에 따라 열린 관계장관회의 직후 국정원이 자체 생산한 첩보보고서 삭제를 지시한 혐의 등으로 수사를 받아 왔다. 그의 검찰 출석은 자택 압수수색과 휴대전화 포렌식이 이뤄진 지 약 4개월 만이다.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1부(부장검사 이희동)는 박 전 원장에게 14일 검찰에 출석할 것을 통보한 것으로 12일 알려졌다. 박 전 원장 역시 본인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저, 박지원은 오는 14일 오전 10시 검찰 소환에 응하겠다”고 밝혔다. 박 전 원장은 “검찰과 제 변호인 소동기 변호사 사이에 소환 일정을 조정, 결정되었다”며 “검찰 소환 공개 여부는 검찰과 변호인 간 조율하겠지만 현재 저의 견해로는 공개를 바란다”고 했다.

박 전 원장은 이씨 피격과 관련한 국정원 첩보보고서 등을 무단 삭제한 혐의로 지난 7월 국정원에 의해 고발됐고 장기간 검찰 수사선상에 올라 있었다. 검찰은 서훈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이씨 사건에 대한 ‘보안유지’ 지침을 내린 이후 국정원 첩보보고서의 삭제가 이뤄졌으며, 이때 박 전 원장의 역할도 있었다고 의심해 왔다.

다만 박 전 원장은 “청와대 안보실로부터 자료를 삭제하라는 어떤 지시를 받은 적도 없고 국정원 직원들에게 제가 삭제를 지시한 적도 없다”는 입장을 유지해 왔다. 그는 지난 10월 27일 더불어민주당이 마련한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및 흉악범죄자 추방 사건 관련 기자회견’에 나와 “개혁된 국정원 직원들은 이러한 지시를 따를 만큼 사악한 바보들이 아니다”고도 말했었다.

검찰은 지난 9일 서 전 실장과 김홍희 전 해양경찰청장을 재판에 넘겼다. 이씨의 실종을 파악한 국가기관들이 헌법과 법령에 정해진 절차대로의 임무를 수행하지 못했으며, 이씨를 구하지 못했다는 비난을 우려한 나머지 광범위한 은폐 및 ‘월북 조작’을 자행했다는 것이 현재까지의 검찰 수사 결과다. 검찰은 이씨의 자진월북 의사를 판단할 근거가 희박했음을 여러 경로로 논증했고, 당시 국가기관들이 벌인 자료 삭제와 관련한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박 전 원장이 공개 소환을 원한다는 의사를 밝힌 만큼 그가 14일 오전 검찰청에서 언론을 상대로 그간 주장해온 입장을 재차 강조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