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총파업 철회’ 조합원 총투표 돌입 [포착]

입력 2022-12-09 09:56
9일 오전 광주 광산구 진곡화물공영차고지에서 화물연대 광주본부 조합원들이 총파업 종료 및 현장 복귀 찬반투표에 참여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가 9일 오전 9시 총파업 철회 여부를 놓고 전체 조합원 찬반 투표에 들어갔다.

투표 결과는 이날 낮 12시 이후 발표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뉴스

화물연대는 전날 오후 민주노총 대전본부에서 중앙집행위원회를 열고 파업 철회 여부를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하고 전체 조합원 의사를 묻기로 결정했다.

화물연대는 조합원 피해를 최소화하고 강경탄압으로 일관하는 정부의 태도변화를 촉구하기 위해 조합원 총투표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화물연대는 이날 투표 결과에 따라 파업을 철회하더라도 정부와 여당을 상대로 ‘안전운임제 3년 연장안 입법화’와 ‘안전운임제 품목 확대’를 계속 요구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정부의 업무개시명령에 대해서는 국제노동기구(ILO)를 통해 끝까지 책임을 묻겠다는 방침이다.

화물연대는 전날 조합원 찬반 투표를 결정한 직후 성명을 통해 “조합원들의 결정이 있을 시 현장으로 복귀하고 국회 내 논의 과정에 충실히 임할 것”이라며 “정부와 여당 역시 당정협의를 통해 발표했던 안전운임 3년 연장 약속을 지켜달라”고 밝혔다.

하지만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화물연대가 주장하는 안전운임제 3년 연장은 11월 22일 정부·여당이 국가적 피해를 막기 위해 제안한 적은 있다”면서도 “화물연대가 11월 24일 집단운송거부에 돌입했기 때문에 그 제안이 무효화됐다”고 선을 그었다.

여합뉴스

장기간 파업으로 국가 경제에 피해가 발생한 만큼 기존 정부 제안을 그대로 유지할 수는 없으며 화물연대에 파업으로 인한 책임을 묻겠다는 취지다.

국토교통부도 “안전운임제 3년 연장은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화물연대는 그동안 국민경제에 끼친 피해와 일하고자 하는 근로자들의 일자리를 빼앗은 지난 16일간의 운송거부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화물연대가 요구하고 있는 안전운임제 품목 확대도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