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공공기관장들은 도민의 민생을 살피고 더 나은 기회의 경기도를 만들겠다고 하는 소명 의식과 도민들이 부여한 권한과 관련 역할을 다하겠다고 하는 책임 의식을 단단히 가져야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7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실국장회의에서 이 같이 밝히며 공공기관장들에 대한 강력한 리더십과 책임 의식을 주문했다.
김 지사는 “기관장들이 새로 부임한다고 해서 새로 온 기관장의 리더십이 약한 것도 아니지만 거꾸로 기관장이 오래됐다고 해서 리더십이 강한 것도 아닌 것 같다”며 “공공기관이 책임을 다하지 않으면 그 피해는 도민에게 돌아간다. 그동안 역할이 미흡했거나 기강해이가 있던 공공기관에 대해서는 성찰과 쇄신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경기도 산하에는 27개 공공기관이 있으며, 임직원 수가 7000명에 달한다. 아울러 운영예산 규모가 8조원이 넘는다.
김 지사는 “모든 공공기관장은 임기를 포함한 모든 권한이 기관장으로서 책임을 다할 때 보장받는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힘줘 말하며 “여러 형태의 기강해이가 지금 지적되고 있고 보고되고 있다. 도정을 책임지는 책임자로서 공공기관 운영, 조직, 관리 부분에 있어서 실국장과 함께 꼼꼼하게 도민을 위해서 살피고 책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현안인 화물연대 파업과 광역버스 입석 중단에 대해서 도민 피해 최소화를 위한 실·국별로 빈틈없는 준비도 주문했다.
김 지사는 화물연대 파업에 대해 “파업종료 시점까지 도민과 산업에서 불편과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특히 시멘트, 컨테이너, 정유 등 분야별 대책, 군부대 비상운송수단 지원 등 다양한 대응책을 검토해서 공백을 최소화 하길 바란다”고 했다.
광역버스 입석 중단에 대해서도 김 지사는 “경기도가 도민 불편 최소화를 목표로 24대의 전세버스를 긴급 투입하는 등 노력을 기울였지만, 여전히 도민 불편이 남아있는 상황이라 안타깝다”며 “도민들의 애로사항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의견을 들어가면서 필요한 방법을 논의하고 중장기 대책도 빈틈없이 마련해달라”고 당부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