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국가목표보다 5년 빠른 2045년 탄소중립 선언

입력 2022-12-06 12:07
인천시청 전경. 국민DB

인천시는 6일 유정복 인천시장이 송도국제도시 쉐라톤 그랜드 인천 호텔에서 열린 제2회 저탄소도시 국제포럼 개회식에서 ‘2045 인천시 탄소중립 비전’을 선언했다고 밝혔다.

시는 이번 선언에서 인천의 탄소중립 실현 시점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보다 5년 앞당긴 2045년으로 정했다. 이를 위한 4대 정책 방향과 15대 추진과제도 선언에 담았다.

4대 정책 방향은 저탄소 경제·생태도시 조성, 맞춤형 시민 기후행동 확대, 글로벌 기후협력체계 활성화, 안전한 기후위기 적응 강화 등이다.

15대 추진과제에는 수소·풍력·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확대, 수소버스 전환 등 친환경 교통 구축, 내구연한 종료 석탄발전 폐지 등 그린에너지 대전환 준비, 신기후산업 육성 및 기술혁신 지원, 자원 선순환 강화, 녹색기후기금(GCF) 콤플렉스 건립 등이 있다. 시는 또 기후변화 리빙랩 운영, 갯벌·나무 등 탄소 흡수원 확충, 기후위기 취약성 평가, 탄소중립 거버넌스 시민협의회 운영, 온실가스 환경지표 선정 공개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들 과제를 추진하는 데에는 2030년까지 18조5000억원이 투입된다.

유정복 인천시장이 6일 인천 송도국제도시 쉐라톤 그랜드 인천 호텔에서 열린 제2회 저탄소도시 국제포럼 개회식에서 ‘2045 인천시 탄소중립 비전’을 선언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시는 이미 관련 연구용역을 통해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자급률 등을 분석, 2045년 탄소중립 조기 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같은 분석을 토대로 시는 탄소중립 조기 실현을 위해 시민·기업 등과 지혜를 모으고 국제사회와의 지속적인 신뢰·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유 시장은 “앞으로 탄소중립의 대전환을 준비하는 비전과 로드맵 실천을 더욱 강화하고 국제사회에서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그 역할을 성실히 이행해 나갈 것”이라며 “탄소중립 조기 실현을 위해 시민들의 적극적인 지지와 동참, 그리고 정부와 국제사회의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저탄소도시 조성을 목표로 국제사회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시와 유엔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ESCAP)가 공동으로 개최한 이날 국제포럼에는 허식 인천시의회 의장,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야닉 글레마렉 GCF 사무총장, 유영숙 기후변화센터 이사장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