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이하 자문위) 위원장이 최근 대전 등 일부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실내 마스크 해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정 위원장은 5일 브리핑에서 “확진자와 사망자가 늘어날 것인 만큼 실내마스크 해제는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 위원장은 “오늘 아침 시점에서 당장 실내마스크를 해제해야 할 만한 특별한 변화가 없어 보인다”며 “확진자 숫자가 뚜렷하게 늘지는 않고 있지만 숨어있는 확진자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정 지역만 실내 마스크 의무를 해제할 경우 해당 지역의 환자를 다른 지역이 수용하는 상황이 될 것이라며 방역 정책의 일관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정 위원장은 “실내마스크를 지금 당장 벗는다면 감염이 늘 것이 뻔하다. 그만큼 중환자와 사망자도 늘기 마련”이라며 “당장 실내마스크(의무)를 해제했을 때 생기는 억울한 죽음과 고위험 계층의 고생에 대해 누군가 책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최근 코로나19 유행세에 대해 “정체기라고 생각하지 않으며 아마 큰 유행의 중간 즈음에 와 있을 수 있다”며 “코로나19 환자가 없는 게 아니라 신고를 안 할 뿐”이라고 설명했다.
정 위원장은 최근 독감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실내마스크 해제를 반대하는 이유로 꼽았다.
그는 “학교에서 마스크를 벗으면 어마어마한 독감 유행이 올 것이며 코로나19도 당연히 번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 위원장은 “자문위에서 2차례 깊이 있게 논의했으나 논란이 계속돼 당분간 추세를 보겠다는 정도로 정리했었다”며 “질병관리청이 오는 15일과 26일 실내마스크를 포함한 방역 정책에 대한 공개토론회를 여는데 토론을 지켜보면서 실내마스크 해제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실내마스크 해제를 위한 조건으로 방역당국이 목표로 하는 동절기 추가 백신 접종률 목표(60세 이상 50%, 취약시설 거주자와 종사자의 60%) 달성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백신접종이 충분히 되고 숨어있는 감염자들이 점점 감염되면서 자연면역을 얻게 된다면 실내마스크 의무를 해제하는 날이 생각보다 조금 더 빨리 올 수도 있다”고 했다.
최근 대전시와 충청남도는 실내 마스크 의무를 자체적으로 해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전시는 최근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공문을 보내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치를 12월 15일까지 해제하지 않으면 자체적으로 해제하겠다고 했다.
해제 이유로는 ▲식당·카페 등에서 이미 대부분 마스크를 벗고 있어 실효성이 떨어지고 ▲아이들의 정서·언어 발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들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