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 출범 50주년을 맞는 대전 대덕특구가 세계적인 혁신클러스터로 도약하기 위한 재창조 사업에 돌입한다.
대전시는 5일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 대덕특구 재창조위원회 회의를 열고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이행계획’을 확정했다.
1973년 조성된 대덕특구는 그동안 수많은 성과를 배출하며 경제성장을 이끌어 온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성지다. 하지만 폐쇄적인 환경에 따른 교류·소통 부족 및 시장과의 연계 미흡, 청년인재 확보 어려움 등의 한계가 발생하며 생태계적·공간적 대전환이 요구돼 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대덕특구 출연연, 대학 등과 함께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계획을 마련한 시는 ‘대덕특구 재창조 운영위원회’를 올해 3차례 개최하는 한편 구성원들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쳤다.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계획의 비전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개척하는 세계적 혁신클러스터’로 정해졌다. 대덕특구를 세계·국가·대전의 중심으로 만들기 위한 3대 목표는 ‘기술패권시대를 선도할 초격차 전략기술의 산실’ ‘청년인재가 모여드는 균형발전·지역혁신거점’ ‘과학기술 기반 일류경제도시의 성장엔진’ 등으로 결정됐다. 종합계획은 내년부터 2032년까지 10년간 추진된다.
34개 세부과제 중 중요성·시급성·실현가능성 등을 고려한 10개 과제는 핵심과제로 선정했다.
10대 핵심과제는 대학의 기술·아이디어 창업 활성화, 인접 산업단지 특구 편입,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융합연구혁신센터 구축, 출연연 실험실 창업 혁신단지 조성, 대덕특구 특화 대형 융합연구 프로그램 운영, 연구소기업 성장 지원, 과학문화 둘레길 조성, 청년·창업가 맞춤형 주택 공급, 교통체계 개선 및 미래교통수단 도입 등이다.
시는 대덕특구에 축적된 지식이 교류·융합하며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창업 및 사업화로 연결되며 기업성장과 경제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인재가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수도권 과밀화 현상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창조 사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될 경우 생산유발효과 6조1000억원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3조2000억원, 고용창출효과 9만1000여명, 신규 창업 수는 4300개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대덕특구 재창조는 지역이 국가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선도하는 전환점을 만든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라며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수도인 대전시와 대덕특구가 협력해 미래 50년 도약을 함께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