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친윤(친윤석열)계가 주축이 된 의원모임 ‘국민공감’이 오는 7일 공식 출범한다. 국민의힘 의원 115명 중 절반이 넘는 65명이 참여하는 ‘매머드급’ 규모다.
‘국민공감’은 출범과 동시에 국민의힘 최대 의원모임이 된다. 이에 따라 국민공감이 내년 3월 전후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앞두고 내부 판도를 뒤흔들 대형 변수로 떠올랐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국민공감은 당초 지난 6월 출범할 계획이었으나 ‘계파 모임’ 논란에 휩싸이며 발족이 잠정 중단됐다. 거의 6개월 만에 닻을 올리는 것이다.
국민공감의 공보를 맡은 유상범 국민의힘 의원은 1일 국민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국민공감은 의원 누구나 참여 가능한 ‘오픈 플랫폼’ 형태의 공부모임으로 출범한다”고 밝혔다.
국민공감은 오는 7일 첫 모임에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를 초청해 ‘정치, 철학에 묻다. 자유민주주의의 길’이란 주제로 강연을 듣는다.
총괄 간사는 이철규 의원이 맡는다. 김정재(총무)·박수영(기획)·유상범(공보) 의원이 간사단으로 활동한다.
당권주자인 김기현·안철수 의원도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다만 ‘계파 색채가 짙다’며 반대 입장을 펼쳤던 친윤계 좌장 권성동 의원은 참여 의사를 밝히지 않았다고 한다.
친윤계 핵심인 장제원 의원도 명단에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장 의원은 지난 6월 “제가 의원모임에 참여하는 것이 문제라면 참여하지 않겠다”고 했었다.
다만 모임에 참여하는 한 재선 의원은 전화통화에서 “장 의원이 회원은 아닌 상태이지만, 모임 출범 당일 축하하기 위해 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국민공감은 당초 ‘민들레’(‘민심 들어 볼래’의 약어)라는 이름으로 출범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단을 공개한 친야 성향 매체가 같은 이름을 사용해 이름을 바꿨다.
국민공감은 보도자료를 내고 “2주마다 정기 모임을 갖고 한국 정치와 보수 정당이 가야 할 길에 대해 논의한다”며 “분야별 전문가와 지도층 인사들로부터 고언을 듣고, 윤석열정부의 성공을 적극적으로 도울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만 ‘계파 모임’, ‘세 과시용 모임’이라는 비판도 있다.
수도권 재선 의원은 “정책 연구를 위한 목적보다는 친윤계가 세 확장에 본격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구승은 기자 gugiz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