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화물연대 첫 협상 결렬…30일 다시 만나기로

입력 2022-11-28 16:17 수정 2022-11-28 16:46
화물연대 총파업 닷새째인 28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한송유관공사 서울지사 앞 도로에 파업에 참여하며 멈춰 선 유조차 옆으로 유조차가 오가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와 정부가 총파업 닷새 만에 협상 자리에서 만났지만 서로의 입장차만 확인했다.

28일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부와 화물연대의 협상은 시작한지 1시간 50분 만에 끝났다.

협상 자리에 정부 측에서는 어명소 국토부 2차관과 구헌상 국토부 물류정책관이, 화물연대에서는 김태영 화물연대 수석부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어 2차관은 “컨테이너와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 품목에 대해 안전운임제를 3년 연장하고, 그 이외의 품목 확대는 수용하기 곤란하다는 입장을 전했다”며 “경기가 어렵고 피해가 가시화되는 상황에서 조속한 복귀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화물연대는 업무개시명령 철회,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 품목 확대를 요구하며 양측 대화는 평행선을 달렸다.

화물연대는 교섭 결렬 직후 입장문을 통해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각 요구안에 대해 전향적인 입장을 낼 것이라고 말했지만 국토부는 ‘국토부가 답변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답변만 했다”고 밝혔다.

정부와 화물연대는 오는 30일 세종청사에서 다시 만나 협상을 계속하기로 했다.

화물연대는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직접 나와 대화를 지속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