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동조합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의 총파업이 닷새째에 접어든 가운데 정부가 위기경보단계를 최고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했다.
국토교통부는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가 지속되면서 피해 상황이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며 육상화물운송분야 위기경보단계를 ‘경계’에서 ‘심각’으로 올린다고 28일 밝혔다.
국토부는 화물연대가 총파업을 예고한 직후인 지난 15일 위기경보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했다. 이후 파업이 시작되기 전날 ‘주의’에서 ‘경계’로 올렸다.
화물연대의 운송거부가 전국적으로 확산한 점, 항만 등 주요 물류시설의 운송 차질이 지속되고 있는 점, 수출입 화물 처리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는 점을 고려했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위기경보단계가 최고 수준으로 올라감에 따라 정부의 대응체계도 범정부 차원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로 강화된다.
관계부처는 이날 오전 10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화물연대 총파업 사태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논의한다.
정부와 화물연대는 이날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첫 대화에 나선다. 총파업을 예고한 지 13일 만이다. 화물연대 김태영 수석부위원장과 국토부 구헌상 물류정책관이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를 영구화하고 품목을 확대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반면 국토부는 “안전운임제는 3년 연장하되 품목 확대는 안 된다”는 입장이 뚜렷하다.
화물연대와의 첫 협상이 결렬되면 정부는 29일 국무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화물연대에 대한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