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7기 울산시가 재생에너지 확대의 가장 큰 축으로 내세운 부유식 해상풍력이 어민 반발 등으로 활성화는 여전히 요원하기만 하다.
24일 울산시 등에 따르면 울산에서는 2030년까지 울산 앞바다에 9000㎿급 부유식 풍력발전단지 조성이 계획돼 있다.
지난 민선 7기 울산시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6개 업체가 6100㎿급 발전사업 허가를 취득했고, 지역 내 어민단체와의 협약 등 주민 수용성 확보도 일정 부분 진행됐다.
민선8기 들어 사업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꾸준이 제기되고 있고 일부 어민들은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며 반발하고 있다.
김두겸 시장은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을 반대하지는 않지만, 지금은 속도 조절이 필요한 시기”라며 사업 전면 재검토를 시사했다.
이런 가운데 어민단체들도 “어민들과 합의되지 않은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사업 진행을 중단하라”고 계속 주장하고 있어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지난 23일 울주군 온산읍 덕신리 온산한마음회관에서 개최된 울산지역 첫 부유식해상풍력 관련 주민설명회에서 어민들은 공사로 인해 피해를 입는 61개 어업권에 대한 보상이 없이는 어떤 사업에도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울산시 어선·어업인연합회 관계자는 “민간개발사들이 803척의 허가 어선 중 100여 척으로 구성된 어민대책위원회를 상생지원금 70억원으로 매수한 뒤 산업부에 상생협약서를 제출해 사업허가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특히 해상풍력 참여업체들이 어민들에게 지급한 70억원의 어민상생자금과 관련해 울산해경이 자금 배분에 문제가 없는지를 조사 중이다. 어민상생자금은 6개 컨소시엄이 54개의 풍력측정 라이더를 해상에 설치 하면서 1기당 5억원씩 출자해 만든 보상금이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