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가 지난 6월 총파업 이후 5개월만인 24일 자정부터 전국적으로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부산에서도 총파업 출정식이 열렸다.
화물연대 부산본부는 이날 오전 부산신항 삼거리에서 조합원 수백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총파업 출정식을 열고 화물 노동자들을 또 다시 파업으로 내몰게 한 안전운임제 영구화와 확대할 것 등을 정부에 촉구했다.
화물연대 부산본부 관계자는 “정부와 여당은 화물연대와의 약속을 지키고 안전운임 제도를 무력화시키려는 개악안을 폐기할 것을 요구하는 화물노동자의 정당한 투쟁을 받아들여 안전운임제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또 “화물운임제는 화물차 기사가 과로·과속·과적 운행에서 벚어날 수 있는 최소환의 운송료 보장을 위한 안전제도다”며 “안전운임제 지속 추진과 적용품목 확대 등 정부가 약속을 저버린 것이 이번 파업의 원인이다”고 말했다.
화물연대는 이날 수도권 물류거점인 의왕내륙컨테이너기지(ICD)와 부산 신항, 전남 광양항 등 전국 16개 지역별로 2만2000여 명의 노조원이 참여한 가운데 총파업 출정식을 기졌다.
이에 국내 최대 무역항인 부산항을 관리하는 부산항만공사(BPA)는 수출화물을 조기에 반입하고, 파업 장기화에 대비해 임시장치장 확보에 나서는 등 대비에 나섰다.
BPA는 부산지방해양수산청과 터미널운영사의 수출화물 선적 반입 가능 기준일을 기존 3일에서 5일로 완화해, 파업 전 조기에 수출화물이 부두로 반입될 수 있도록 조치했다.
또 수입 화물과 야적장 내 장기 적체화물은 신속히 반출해 부두 혼잡도를 낮추는 한편 집단운송 거부 장기화에 대비해 배후단지 등에 컨테이너를 보관할 수 있는 임시장치장도 확보 중이다.
부산시도 비상수송대책본부 가동에 들어갔다. 시는 물류난에 대비해 위해 8t 이상 자가 화물차의 임시 유상운송과 터미널 내에서만 컨테이너를 옮기는 야드 트랙터가 컨테이너 야적장까지 임시로 운행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부산경찰청도 운송거부 등 불법행위에 엄정하게 대응하기로 하고 부산지역 주요 물류거점에 순찰차와 오토바이는 물론 기동대 9개 중대 등 모두 890여명을 배치할 예정이다.
부산=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