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노조가 24일 0시부터 전국적으로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감에 따라 경남도도 지역 물류 수송 피해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과 물류 수송 공백에 대한 대응에 나섰다.
경남도는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화물연대본부 무기한 총파업에 따라 파업이 끝날 때까지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가동하는 등 지역 물류 수송에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총력 대응한다고 24일 밝혔다.
경남도 비상수송대책본부는 교통건설국장을 총괄본부장으로 대책본부총괄반과 파업 대비 대책 홍보반, 비상수송대책 대비 수송반 등 총 3개 반으로 구성됐다.
도는 ‘육상화물운송분야 위기 매뉴얼’에 따라 단계별로 현장 상황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도는 그동안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한 피해 최소화를 위해 시멘트, 철강, 조선업 분야 등 관내 주요 보호 대상 업체와 실시간 현장상황을 공유하고, 파업 대처방안을 협의해 왔다.
국토교통부, 도내 시·군과 협조체계를 구축해 피해 상황을 즉각 파악하고, 대체 수송차량 투입과 화물 적재공간 추가 확보 등 비상수송 대비에도 총력을 다한다는 계획이다.
도는 화물수송 시 운송방해 행위로 인한 피해 발생 시 국토부의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 관련 피해차량 보상지침’에 따라 운전자에 대한 피해보상에도 적극적으로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물류난 해결을 위해 18개 시·군이 자가용 유상운송 허가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파업상황에 따라 군부대에 컨테이너 차량 등 장비 지원도 요청할 예정이다.
석욱희 도 교통정책과장은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한 도민 피해 최소화와 물류수송 피해를 막기 위해 국토부와 긴밀한 공조 체계를 유지하고 시·군의 전 행정력을 집중해 화물수송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