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서울우유, 신품종 도입 등 낙농산업 발전 협약

입력 2022-11-24 09:47
낙농산업 발전을 위한 경기도-서울우유협동조합 업무협약. 경기도 제공

경기도와 서울우유협동조합이 젖소품종 다양화 등 도내 낙농가 소득 창출을 위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을 추진한다.

경기도와 서울우유협동조합은 최근 사료 가격 급등, 2026년 자유무역협정(FTA) 유제품 시장 완전 개방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도내 낙농가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지속적이고 안정적 성장을 도모하고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지난 23일 오후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김영수 경기도 축산산림국장, 문진섭 서울우유협동조합장 등이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낙농가 소득증대와 우유 소비 확대, 젖소 육성우 목장 조성, 젖소 품종(저지 종 등) 다양화와 우수 유전자원의 생산·평가 및 보급 등 낙농산업 발전을 위한 분야에 공동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또한 동물복지 축산농장 저변확대 등을 위한 공동 조사·연구, 그 밖에 낙농산업 발전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사항 등에 대해서도 힘을 보태기로 했다.

특히 도는 이번 협약으로 저지 종 등 신품종 젖소 도입·확산을 추진, 미래형 낙농산업 도약과 더불어 도내 낙농가를 위한 새로운 소득 창출의 계기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서울우유 역시 젖소 송아지 육성기지 조성을 추진해 낙농산업 기반 확대에 이바지할 전망이다.

김영수 국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저지종 정액 및 수정란 생산 등 젖소 품종 다양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경기도 낙농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 서울우유도 낙농산업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문진섭 조합장은 “젖소 송아지 육성 및 공급으로 낙농 생산성을 향상하고, 경기도형 젖소 육성우 사업을 개발하여 도내 낙농가에게 큰 힘이 되겠다”라고 밝혔다.

현재 경기도내 젖소 사육 농가 수는 우리나라 전체 6010호의 38%인 2283호이다. 사육두수는 15만5642두로, 전국 38만9390두의 40%로 전국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도는 도내 낙농업 발전을 위해 낙농지원센터 운영, 학교우유급식 지원, 낙농산업 경쟁력 강화사업 등 다양한 정책·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우유는 일일 원유처리량 1908t으로 전국에서 제일 많으며, 도내 낙농가 2283호의 약 60%가 소속 조합원으로 경기지역 낙농산업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양평군 소재 생명공학연구소를 통해 저지종 사육 및 연구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