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이재명계 좌장으로 불리는 정성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이재명 대표를 겨냥한 ‘대장동 책임론’을 비판하면서 “이태원 참사가 대통령실 이전 때문에 생긴 거니까 ‘대통령 퇴진하라’는 말하고 다를 게 뭐가 있겠는가”라고 말했다.
정 의원은 23일 오후 KBS라디오 주진우 라이브에서 “(남욱 변호사도) 그렇게 들었다는 거 아닌가. 본인이 직접 이재명 측근이나 이재명에게 전했다는 게 아니라 누구에게 들었다는 것”이라며 “구체적인 전달의 방법, 시기, 장소 이런 게 다 특정돼야 한다. (남 변호사가) 이재명을 만났다는 얘기를 한 번도 한 적이 없고, 전화통화 한 적도 없다”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최근 검찰 수사 상황이 언론 보도로 생중계되다시피 하는 상황을 두고는 결정적 증거가 없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역대 많은 정치 사건 수사 상황을 볼 때 이런 식으로 상황과 정보가 그대로 생중계되는 경우는 보지 못했다”며 “자신감이 없기 때문에 그런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 대표에 대한 결정적 증거가 없어서 미리 정진상의 공범이라는 프레임을 씌워 가지고 유죄의 편견을 만들기 위한 전술”이라고 했다.
또 정 의원은 “이 대표가 출석한다고 한들 검찰이 요구하는 그런 답변을 할 수 있겠는가, (검찰 소환은) 별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이 대표가) 국회 상황, 당 안팎의 여러 의견을 들어서 소환에 응할 수도 있지만 응해도 묵비권을 행사할 수도 있고 아니면 답변해도 검찰이 요구하는 답이 나올 리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의 기소 가능성에는 “대선 자금을 갖고 기소할 수 있는지는 굉장히 회의적이다. 할 수 있다면 대장동 사건 관련한 업무상 배임(정도일 것)”이라고 했다.
그는 “(배임은) 물증에 관계없이 정책적 판단의 문제이기에 그 정책 판단이 배임에 해당한다며 기소는 할 수 있을 것이지만 그런 식이라면 지방자치단체장, 광역단체장, 정부의 어떤 결정권자들이 하는 것도 나중에 다 배임죄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럼) 아무도 일을 못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의원은 다만 구속 기소된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과 구속된 정진상 당대표 정무조정실장에 대해서는 당직에서 물러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어쨌든 상식적으로 생각해 당직을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그렇다고 하면 자연스럽게 사퇴하는 게 맞다”고 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