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0년까지 남극 내륙기지를 구축한다. 미국, 러시아, 일본, 프랑스·이탈리아(공동), 중국 이후 6번째다.
해양수산부는 ‘제1차 극지활동 진흥 기본계획’이 국무회의에서 확정됐다고 22일 밝혔다. 정부는 우선 2027년까지 내륙연구 최적 거점을 기지 후보지로 선정해 2030년 남극 내륙에 세계 6번째로 기지를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세종과학기지, 장보고과학기지에 이은 한국의 세 번째 남극기지다.
1만5000t급 차세대 쇄빙 연구선을 건조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1.5m 두께의 얼음을 3노트(5.6㎞/h)의 속도로 깰 수 있어 1m 두께까지만 가능한 아라온호가 진입하기 어려웠던 북위 80도 이상의 고위도 북극해까지 진출할 수 있을 전망이다. 2026년까지 2774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2025년까지 북극 해빙 관측을 위한 초소형 위성을 개발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남극 빙하가 녹는 원인을 밝히고 2030년, 2050년, 2100년의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도 연구한다. 북극에서의 해빙 변화가 한반도의 겨울 한파를 일으킨다는 것은 이미 알려졌지만, 여기에서 더 나아가 북극의 변화가 우리나라 사계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는 구상이다.
극한 환경에서 생존한 극지 생물자원을 활용해 항생제, 치매치료제, 항균·면역조절물질 등 신규 의약물질을 개발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극지에 접근하기 어려운 민간과 극지 인프라를 공유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내년까지 국내에 극지와 유사한 환경을 재현한 연구·실험 시설을 구축해 산업체·연구기관 등에 실험과 장비 활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에 따라 2척의 쇄빙연구선을 보유하게 되면 민간에서 참여할 수 있는 공모 과제를 확대해, 인프라를 공동 활용하는 길을 넓히기로 했다.
세종=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