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기후·환경위기대응전담 ‘기후환경국’ 신설

입력 2022-11-21 10:06

경남 창원시가 전국 지자체 중 최초로 환경 정책 강화를 위한 기후환경정책관을 임용한데 이어 기후·환경 위기 대응을 위한 조직개편에 나서자 지역 환경단체가 이를 환영하고 나섰다.

창원시는 심각해지는 기후·환경위기와 최근 이태원참사 등 다양한 재난 위험에 효과적으로 대비·대응 하기위해 내년 상반기 ‘기후환경국신설’ ‘안전대응강화’를 골자로 한 조직개편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개편안에 따르면 시는 기후·환경분야를 전담하는 ‘기후환경국’을 신설한다. 시는 특례시의 특례(1개국 신설)에따라 기후환경국을신설해 시대적 과제로 부각된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등에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했다.

기후환경국은 4개 과로 구성되며 기존 환경도시국에 있던 환경정책과와 자원순환과, 안전교통건설국에 있는 하천과가 기후환경국으로 이관되고, 기후대기과가 신설된다.

기후환경국인력은 현정부와 민선 8기의 효율적인 인력운영 방향에따라 증원 없이 전원 재배치를 통해 이뤄질 계획이다. 기존 환경도시국은 도시정책국으로 명칭이 변경되며 도시분야에 역량을 집중한다.

안전대응 강화를 위해 안전총괄과와 재난대응과를 제1부시장 직속으로 전진 배치한다. 기존 안전교통건설국 산하 2개부서(안전총괄과·재난대응과)를 격상, 재난·재해에 필요한 자원배분·인력동원 등 재난관리에 신속 대응할 수 있도록 제1부시장이 직접 지휘·통제한다.

이와 함께 5개구청 대민기획관의 안전관리역할을 강화한다. ‘대민기획관’의 명칭을 ‘대민안전관리관’으로 바꾸고,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부여 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민 안전관리관은 구청장을 보좌해 안전대책수립 및 지휘 등 구청관할의 안전업무를 총괄 한다.

시는 구청업무가 시민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만큼 대민안전관리관의 역할이 지역의 안전한 환경구축에 큰힘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외 대형공공시설물을 관리하는 공공시설관리팀, 사파건강생활지원센터 개소에 따른 건강생활지원팀을 각각 신설한다.

홍남표 시장은 “기후변화 대응은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로 기후환경국을 중심으로 탄소중립실천 등 기후위기 극복에 역할을 다하겠다”며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난, 다양한 사회재난으로부터 시민의 생명·안전을 지키는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의 이번 기후·환경위기 대응 전담 ‘기후환경국’ 신설에 대해 창원기후위기비상행동 등 지역 환경단체들은 “창원시가 기후 위기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이 같은 조직 개편안을 마련 한 것을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