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대우조선 첫 현장실사 나섰지만… 하청노조 리스크 ‘잠복’

입력 2022-11-21 09:24
경남 거제시 아주동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모습. 연합뉴스

대우조선해양의 인수 예정자로 지정된 한화그룹이 노조 요구를 수용하기로 하면서 첫 현장 실사에 나섰다. 인수 절차에서 첫 과제는 넘겼다. 다만 인수한 뒤에 빚어질 하청노조 문제는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정인섭 한화에너지 대표를 포함한 인수단 관계자 40여명은 지난 16일 오전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 옥포조선소로 첫 현장실사에 나섰다. 앞서 정 대표를 포함한 인수단은 15일 대우조선지회를 방문해 노조 간부들과 비공개회의를 가졌다. 요구안 중 일부를 확약했다. 노조는 당사자 참여 보장, 고용보장, 단체협약 승계, 회사·지역 발전이라는 4대 요구안을 주장해 왔다.

노조는 요구 조건을 받지 않으면, 현장실사를 저지할 수 있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여왔다. 대우조선 노조는 최근까지 옥포조선소 정문에서 현장실사를 저지하는 연습을 해왔다. 노조는 2008년(한화)과 2019년(현대중공업) 매각 과정에서도 실사단의 현장 방문을 막았었다.

한화 관계자는 “적법한 지위를 확보하게 되면 노조뿐 아니라 협력업체, 지역사회 등 모든 이해관계자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화는 실사를 마무리한 뒤 본계약 체결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한화그룹은 지난 9월에 2조원 규모로 유상증자를 해 대우조선 지분 49.3%를 확보하는 조건부 투자합의서(MOU)를 체결했다. 한화 측은 내년 상반기를 인수 완료 시점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하청노조 문제가 미지수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민주노총 경남본부는 지난 17일 기자회견을 열고 대우조선의 노사정 협의체 참여를 강력 요구했다. 노사정 협의체는 51일간의 대우조선 하청노조 파업 이후 하청노동자 처우 개선 등을 해결한다는 취지에서 경남도와 노동단체에서 구성하기로 했다. 대우조선은 “하청노동자들은 하도급 관계에 있기 때문에 직접적 교섭대상이 아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아직까지 한화는 인수협상자 지위에 있지만, 대우조선 인수 이후 하청노조 문제는 부담이 될 수 있다. 최상규 금속노조 대우조선지회 대협실장은 “조선산업의 중장기 발전 차원에서 하청노동자 저임금 문제는 노사정 협의체에서 반드시 논의해야 하며, 노동부나 지방자치단체 측에서도 원청이 노사정 협의체에 참여하게 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