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은 정진상 더불어민주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 구속 과정에서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등 ‘대장동팀’의 최근 금품로비 진술이 추가 처벌을 감수하는 내용으로 그 신빙성이 오히려 인정된다고 강조했다. 정 실장 측은 유 전 본부장 등의 진술을 믿을 수 없다고 강조했지만 구속을 피하지 못했다. 검찰은 정 실장의 범행을 ‘지방자치권력 사유화’로 규정했는데 이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수사가 불가피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20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부장검사 엄희준)는 지난 18일 정 실장의 구속 전 피의자심문에서 그의 4개 혐의에 얽힌 증거관계, 도주·증거인멸 우려, 대장동 사건이 지닌 의미와 신속한 의혹 해소 필요성을 두루 설명해 법원 영장 발부를 이끌어냈다.
검찰은 범죄사실이 사건 관계인의 진술만이 아니라 계좌내역과 CCTV로 확인되는 동선, ‘정영학 녹취록’ 등 객관적 자료로 뒷받침된다고 설명했다. 진술 신빙성에 대해서는 오히려 사건 관계인들이 처벌을 감수하며 내놓은 진술로서, 과거에 비해 실체적 진실이 드러나기 시작하는 과정임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 전 본부장과 남 변호사 등은 지난해 이 대표 경선자금 전달에 관여한 사실이 드러나 추가 기소됐다.
검찰은 정 실장의 문제적 행적도 제시했다. 그가 최근 자택에 귀가하지 않은 점은 도주 우려로, PC가 최근 포맷된 점은 증거인멸 우려로 설명됐다. 정 실장 사무실에서 확보된 PC는 지난달 말 운영체제가 포맷돼 있었다. 이 시점은 검찰의 성남FC 불법 후원금 사건 및 대장동 사건 재수사가 본격화한 직후다.
검찰은 정 실장이 민간 이권에 개입해 사익을 취득했다며 이번 사건을 지방자치권력 사유화 범죄로 규정했다. 당시 성남시 최고 의사결정권자였던 이 대표 수사를 시사한 대목으로 풀이된다. 검찰은 영장심사 말미에 대장동 사건이 갖는 의미를 설명했고, 장기간 피로한 국민적 의혹 규명을 위해 추가 수사될 부분이 있다고도 강조했다. 검찰은 20일 정 실장을 구속 후 첫 조사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