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계속되면 내년 가구당 이자 132만원 더 낸다

입력 2022-11-18 10:18 수정 2022-11-18 11:03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가계 대출 이자부담이 가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금리 인상이 계속될 경우 내년 연말에 이르면 한 가구당 부담해야 할 연간 이자가 올해 대비 132만원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8일 금리인상에 따른 민간부채 상환부담 분석 보고서를 통해 지난 9월 기준 52조4000억원으로 집계된 국내 전체 가계대출 이자부담액이 내년 12월에는 69조8000억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15개월 만에 17조4000억원이 불어나는 셈이다. 개별 가구 단위로 환산하면 부담해야 할 연간 이자가 평균 132만원 정도 늘어나게 된다.

특히 다중채무자나 저소득·저신용 차주를 뜻하는 취약차주의 경우 이 기간 동안 이자부담액이 가구당 평균 330만원 증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자료: 한국경제연구원)

보고서는 가계대출 연체율은 현재 0.56%에서 1.02%까지 높아질 것으로 봤다. 때문에 부채부담 증가로 인한 취약계층의 생활고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우려했다. 한경연은 “최근 지속 중인 금리인상으로 ‘영끌’ ‘빚투’족이 한계상황으로 내몰리고, 가계대출 연체율이 높아져 가계는 물론 금융기관 건전성까지 악화될 수 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기업의 이자 부담도 지난 9월 기준 33조7000억원에서 내년 12월 49조9000억원으로 16조2000억원 늘어난다고 추산했다. 기업들 가운데 금리인상에 취약한 한계기업의 경우 내년 12월 이자부담액(연 9조7000억원)이 올해 9월(연 5조원) 대비 2배 가까이(94.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자영업자의 연간 이자부담액도 같은 기간 약 5조2000억원 늘 것으로 봤다. 이 경우 자영업자 1가구당 이자부담액은 평균 94만3000원 가량 늘어날 전망이다. 이는 개인사업자를 제외한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것으로 한경연은 소상공인 등 개인사업자를 합하면 이자부담액은 200만원이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가계부채가 부동산시장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는 한국경제 특성상 향후 차입가계의 부채가 자산시장 변동성을 키우고 금융시스템 전체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금리인상으로 한계기업의 부실 위험이 커질 뿐 아니라 그 충격이 금융시스템 전체로 파급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진단했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한계기업과 취약차주의 부실화에 따른 위험이 시스템 리스크로 파급되는 악순환 방지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한계기업에 과도한 자금이 공급돼 이들의 잠재 부실이 누적되지 않도록 여신 심사를 강화하는 한편, 최근 기업신용을 빠르게 늘려온 비은행 금융기관이 자체 부실대응 여력을 확충하도록 관리 감독을 선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